여야 '이동관 사퇴' 공방…노란봉투법 등

  • 6개월 전
여야 '이동관 사퇴' 공방…노란봉투법 등

[앵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의 탄핵을 주도했던 더불어민주당은 "탄핵 회피 꼼수"라고 즉각 반발했습니다.

반면 여당은 방통위를 지키기 위한 결단으로 평가했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다현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국회입니다.

당초 민주당은 절차대로, 어제 본회의에서 보고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과 검사 2명에 대한 탄핵안을 오늘 본회의에서 처리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사의를 표명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이를 수용함에 따라 이 위원장 탄핵안은 본회의에 상정되지 않았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의 탄핵소추안을 피하기 위한 꼼수 사퇴'로 규정하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부담을 피하며 방송장악을 계속하겠다는 오기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언론을 장악해 총선 보도를 조종하려는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의 오만함에 분노를 금할 수 없습니다."

국민의힘은 방통위가 업무에 차질을 빚게 됐다고 쏘아붙였습니다.

또 민주당이 주도한 방통위원장 탄핵은 '문재인 정부 시절 이루어진 기울어진 운동장을 그대로 이어가기 위함'이었다면서, 이 위원장의 사퇴를 방통위를 지키기위한 결단이라고 봤습니다.

"방통위를 무력화시키고자 한 민주당의 나쁜 탄핵으로부터 방통위를 지키고자, 이동관 위원장 스스로 직을 던지는 결단을 내린 것입니다."

국민의힘은 김진표 국회의장의 국회 운영에 대해서도 불만을 쏟아냈습니다.

정치적 중립 의무를 지키지 않고 민주당 편을 들었다는 이유로 김 의장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한편 손준성·이정섭 검사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오늘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표결에 불참했습니다.

이처럼 막바지 정기국회가 쟁점 현안을 놓고 얼어붙음에 따라 내년도 예산안은 법정 처리시한인 내일(2일)을 넘겨 올해 역시 시한을 못 지킬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노란봉투법과 방송3법과 관련해선 윤석열 대통령이 조금 전 거부권 행사를 했는데요?

여야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국민의힘 측에서는 국민과 민생,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불가피한 결단이라는 반응이 나왔습니다.

국민의힘은 노란봉투법이 사회적 혼란을 불러올 것이 분명하고, 방송3법 역시 공영방송을 언론 관계 단체를 장악하고 있는 이들에게 넘겨주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는 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는 신중을 거듭한 끝에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매우 잘못됐다, 정부가 오만과 독선의 길을 선택했다면서 날을 세웠습니다.

민주당은 오늘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거부권 행사를 규탄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고, 오후에는 국회 로텐더홀에서 정부가 거부권을 남발한다며 규탄 대회를 열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o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