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1번지] 국민의힘, 당무감사 결과 발표…민주, 전대 대의원제 축소

  • 6개월 전
[여의도1번지] 국민의힘, 당무감사 결과 발표…민주, 전대 대의원제 축소


오늘 정치권 이슈들은 조청래 전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더불어민주당 윤재관 정책위 부의장, 두 분과 자세히 짚어 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이번 주 목요일까지 '희생' 결단을 하라고 최후통첩을 한 가운데, 혁신위와 지도부의 신경전이 가열되는 모습입니다. 인 위원장은 험지 출마를 시사한 원희룡 장관을 만나 지도부를 압박했고 김기현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인 울산 남구에서 의정보고회를 열고, 윤 대통령과 자주 만나 얘기한다며 윤심을 강조했습니다. 현재 상황 어떻게 보십니까?

혁신위는 지도부와 친윤, 중진들의 불출마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 요구를 오는 30일 회의에서 공식 안건으로 의결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혁신위가 공식 안건으로 의결해서 지도부로 넘긴다면 지도부는 어떤 결정을 하리라고 보십니까?

이준석 전 대표가 어제 대구에서 지지자 1,600여 명과 만났습니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에 남을 가능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히며 신당 창당 시기가 앞당겨질 수도 있다, 대구 의원 12명 가운데 과반이 물갈이될지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이 전 대표, 신당 창당과 대구 출마 가능성이 커졌다, 이렇게 볼 수 있을까요?

한편 인요한 위원장이 이준석 전 대표를 겨냥해 '도덕이 없는 것은 부모 잘못'이라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뒤이어 "버르장머리 없지만 끌어안는 통합이 필요하다"는 말도 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이 전 대표는 '정치하는 데 부모 욕을 하는 사람은 처음 본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인 위원장의 발언,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이런 가운데 인요한 위원장이 당초 오늘 예정됐던 한국노총 방문 일정을 전격 취소했습니다. 어떤 배경이라고 해석해야 겠습니까?

내년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부산 해운대가 아닌 서울 출마를 예고했던 하태경 의원이 오늘 '정치1번지' 종로 출마를 선언했습니다. 종로는 같은 당인 최재형 의원이 현역으로 있는데다, 한동훈 장관의 출마 지역구로도 거론되는 곳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국민의힘이 오늘 당무감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앞서 당이 혁신위가 제안한 현역 20% 이상 교체보다 더 엄격한 원칙을 마련하겠다고 밝히지 않았습니까. 이번 당무감사 결과가 대대적인 현역 의원, 특히 영남권 의원들 물갈이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데요?

민주당도 공천을 앞두고 의원 평가 방식을 일부 변경하는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하위 10% 의원들의 페널티를 20%에서 30%로 강화하겠다는 건데요. 비명계 '공천 학살' 우려와 함께, 총선 1년 전에 규칙을 마련하기로 했던 시스템 공천 원칙이 무너졌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 룰도 변경하기로 했습니다. 대의원 권한을 약화하고 권리당원 비중을 강화하는 게 핵심입니다. 현재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이 60 대 1 정도 되는 것을 20 대 1로 낮추겠다는 건데요. 비명계는 팬덤 정치를 강화하려는 포석이라고 비판했는데요?

여야가 내년 총선에서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병립형으로 갈 것인지, 준연동형으로 갈 것인지 합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위성정당을 막기 위해 병립형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하고 있는데, 선거제 개편의 키를 쥐고 있는 민주당은 공식 입장을 정하지 못했는데요. 이런 가운데, '병립형 회귀 및 권역별 비례제 도입'을 심도 있게 검토 중이고 오는 29일 의원총회에서 논의한다고 알려졌습니다. 민주당이 어떤 결론을 내리라고 보십니까?

비주류 모임인 '원칙과 상식'은 병립형 회귀에 대해 '선거 야합'이라고 날을 세우고 있고, 이탄희 의원 등도 연동형 비례제 유지와 '위성정당 방지법' 당론 추진을 주장하고 있지 않습니까. 당내 반대와 반발 속에서 병립형 비례제로 회귀할 수 있을까요?

비례대표제를 어떻게 손질하느냐가 신당 창당 움직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년도 예산안 법정 처리 기한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가운데, 여야는 여전히 본회의 개의 여부를 확정하지 못한 채 정쟁만 이어가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오는 30일과 12월 1일 이동관 방통위원장과 검사 탄핵안을 재추진한다는 입장이고, 국민의힘은 예산안 통과를 전제로 한 본회의인 만큼 정쟁용 탄핵안 처리 목적의 본회의 소집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인데요. 본회의 개의 여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여야 대치로 예산안 처리가 또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