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탄핵안 철회'에 충돌…"법적 대응"·"재발의"

  • 6개월 전
'이동관 탄핵안 철회'에 충돌…"법적 대응"·"재발의"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이동관 방통위원장과 검사 2명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 하루만에 철회했습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이를 결재하자 여당은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국회로 가보겠습니다.

장윤희 기자, 탄핵안 추진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네, 국회입니다.

민주당은 오늘(10일) 오전 11시쯤, 탄핵소추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가 기한 내 열리기 어렵다고 판단해, 철회서를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이로부터 약 한시간 반뒤, 김진표 국회의장은 철회서를 결재했습니다.

김의장은 본회의를 열어달라 항의차 찾아온 민주당 의원들에게 탄핵소추안은 어제 본회의 보고만 이뤄져 의안으로 성립되지 않아 회기 내 다시 발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러한 국회법 해석에 강력히 반발하며 김 의장을 상대로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한단 방침입니다.

민주당은 오는 30일과 12월 1일에 연이어 잡혀있는 본회의 등을 통해 탄핵을 추진하겠단 입장이라 후속 충돌이 불가피한 모습입니다.

국회 예결위에 출석한 이동관 방통위원장은 민주당이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 처리를 강행하려는 것과 관련해, 숫자를 앞세워 민주주의를 무력화한다며 '신종테러'와 '트럼피즘'에 빗댔습니다.

[앵커]

쟁점법안인 노란봉투법과 방송3법은 예상과 달리 국회 본회의를 모두 통과했습니다.

여야 반응은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면서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야당 주도로 처리된 노란봉투법과 방송3법에 윤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지 여부를 놓고 정국의 초점이 이동한 모습입니다.

오늘 여야 원내대표 발언 보시겠습니다.

"대통령께서 재의요구권을 행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정치적 결단임에 틀림없으나, 많은 국민들께서 이 법안들만큼은 반드시 폐기되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대통령이 그동안 한 일이 너무 없어 습관성 거부권 행사라도 업적으로 삼으려는 것이 아니라면 국회 입법권을 존중해 법을 공포해야 합니다."

탄핵 정국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쟁점 법안 거부권 문제까지 더해지며, 여야 신경전은 점점 거세질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ego@yna.co.kr)

#이동관 #탄핵안 #노란봉투법 #방송3법 #국회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