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5년새 농촌 빈집 70% 급증…철거·활용은 제자리

  • 7개월 전
[단독] 5년새 농촌 빈집 70% 급증…철거·활용은 제자리

[앵커]

최근 5년 사이 농촌 빈집이 7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철거와 활용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데요.

급증하는 농촌의 빈집은 인구 신규 유입을 막아 지방 소멸 문제를 가속화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동욱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유튜브에서 흉가를 검색하면 병원 등 폐건물 뿐만 아니라 농촌 빈집을 체험하는 영상들이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오래 방치된 빈집에서 동물이나 사람의 시체를 발견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요즘에 어디 가기만 하면 사체가 많이 보여요. 여기엔 뭐가 있을까?"

지난 8월에는 순창과 전남 곡성 등 농촌 지역 빈집을 돌며 금품을 훔친 40대가 검거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농촌 빈집은 화재나 붕괴 등 안전사고와 농촌환경 저해, 범죄장소 악용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같은 농촌 빈집이 최근 5년새 7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전국의 농촌 빈집은 6만6,024호…

2018년 3만8,988호에 비해 7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매년 6천호 이상 급증하고 있습니다.

반면, 철거 비율은 18%, 활용 비율은 0.7%대로 제자리걸음 수준이었습니다.

정부가 빈집 활용율을 높이고 나머지는 신속히 정비하겠다고 했지만 지지부진한 상황.

농촌 빈집이 방치되면 기존의 사람들도 떠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구의 유입 역시 가로막는 이중 장애물이 될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지자체의 역량으로는 이렇게 많이 확대되는 농촌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가 힘들다는 생각에서 국가 차원의 관심이 필요할 때다. 예산이라던지 인력을 좀 더 많이 지자체에 내려줘서…"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지방시대를 내세운 가운데, 농촌 빈집 정비 등 주거 환경 개선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

#농촌 #빈집 #흉가 #지방소멸 #지방시대 #안병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