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갚아야 할 시기”…무슨 뜻 담겼길래

  • 7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3년 10월 19일 (목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설주완 민주당 법률위 부위원장, 신지호 전 국회의원, 여선웅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김종석 앵커]
조정훈 의원이 오늘 저희 채널A 라디오쇼 정치시그널에 직접 출연해서 본인 주선으로 전화 연결을. 돌려차기 피해자와 한동훈 장관을 연결한 뒷이야기를 조금 공개했는데. 한동훈 장관과 통화 신청을 했지만 3달 정도 기다렸고. 한동훈 장관이 전화가 와서, 본인에게. 사과하고 싶다고 묻더니 직접 전화를 걸었고 저런 화면이 연출되었다는 이야기를 했어요. 그러면서, 장예찬 최고위원님. 조정훈 의원이 이야기한 것은 ‘이게 국정감사의 목적 아니겠느냐.’라는 표현까지 했습니다.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그러니까 결국 국정감사에서요, 현 정부 견제 감시 다 좋은데. 이 같은 과정을 통해서 우리 국민들이 ‘내가 조금 더 나은 대한민국에서 살게 되겠구나. 우리 정부와 정치권이 나의 안전과 여러 가지 재산권 등등을 우리의 미래를 지켜주겠구나.’라는 느낌을 받는 것이 참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제껏 국정감사에서 고성, 모욕 주기, 정쟁 외에 정말 국민 삶에 와닿는 플러스알파가 나온 적 많지 않죠. 부산 돌려차기 가해 사건 같은 경우는 피해자분이 정말 20년 뒤에 이 가해자가 풀려났을 때 내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아직도 공포를, 두려움을 절박하게 호소하고 있는데요. 조정훈 의원이 시의적절하게 질의를 잘 해줬고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것 같고. 한동훈 장관은 흔쾌히 먼저 전화를 걸어서 사과하는 모습 보여줬잖아요.

법무부의 조치, 현재 제도가 미비하다면 정말 그 부분 반성한다. 앞으로 더 시간이 걸리겠지만 나아가겠다. 지금 민주당 의원들이 자꾸 한동훈 장관의 태도나 이런 것을 지적하는데, 정작 이 법무 행정의 서비스 대상자인 국민 앞에서는 사과하고 반성하고 낮은 태도로 가잖아요. 저는 이것이 더 중요한 공직자의 자세라고 생각을 합니다. 정치인들, 권력자들에게 낮은 태도 보이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에게, 약자와 피해자에게 낮은 자세 보이는 것. 이것이 하나의 어떤 단발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법무부 차원에서도 한 장관표 피해자 보호 정책들. 1호, 2호, 3호 이런 것들이 쭉쭉 나온다면 진정성을 더욱더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봅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도혜원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