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박진 외교장관에게 듣는다…방미 결과와 성과는?

  • 8개월 전
[뉴스초점] 박진 외교장관에게 듣는다…방미 결과와 성과는?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주 미국 뉴욕을 방문했습니다.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방미 계기 40여개국과 양자 정상회담도 했는데요.

윤 대통령을 밀착 수행한 박진 외교부 장관 모시고 이번 방미의 성과와 의미에 대해 설명을 들어보겠습니다.

유엔 총회 참석 계기 윤 대통령 4박6일간 41개국과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폭풍일정'이란 평가 속에 강행군을 한 이유와 배경 설명해주시죠.

부산엑스포 유치전이 주요 목적. 회담한 국가 정상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그 중에서 가장 인상 깊은 회담을 꼽으면?

윤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가장 주목 받은 부분은 '북러 군사거래에 경고장'으로 볼 수 있겠는데요. '북러간 군사거래시 좌시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그 의미는 무엇인가요? 북러 거래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있다면?

북러간 실제 무기거래 정황 또는 확인된 사실 있나요?

윤대통령은 러시아 겨냥해 '도발'이란 표현 쓰고 안보리 개편 문제까지 거론했는데 향후 한러관계에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윤대통령 연설에 주한 러대사관은 '깊은 유감' 표명했는데, 이에 대한 입장은?

윤대통령이 '북러' 아닌 '러북' 순으로 불렀습니다. 대통령실은 민족공조라 해서 북한을 먼저 부르는 일 없을 거라 하는데, 그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연설에서 '중국' 단어는 아예 없었습니다. 북러와 달리 중국의 경우 우리 정부가 관리한다는 인상을 주는데요. 이에 대한 입장은?

윤대통령이 유엔에서 41개국, 이번달 초 아세안과 G20 관련 회의에서 20개국 정상들과 양자회담했습니다. 지금까지 60개국 넘는 정상 상대로 부산엑스포 유치 노력을 했는데, 실제 유치 가능성과 지금의 판세는 어떻게 보는지요?

현재 부산의 유력 경쟁 도시로는 리야드가 꼽힙니다. 리야드에 비해 부산의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이 있다면요?

지난 23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계기 한덕수 총리와 시진핑 주석 면담도 있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시 주석의 방한, 그리고 한중일 정상회의 시점에 관해 논의가 있었나요? 특히 시 주석이 한 총리에게 먼저 '방한 검토'를 언급했다는데 왜 그랬다고 보나요?

이 면담을 두고 한중간 온도차가 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측 발표에선 한중일 정상회의와 방한 관련 내용은 담기지 않았고요, 또 한국측에 '한중관계를 중시하겠다는 점을 정책에 반영하라'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달라는 주문이나 요청이 있었나요?

북러간 무기거래 시도에 윤대통령이 언급했듯 정부는 단호히 대응하겠단 입장을 밝혔고, 이런 입장을 중국측에도 전달했을 거 같은데요. 실제 그런 우려를 전달는지, 중국측의 북러 밀착에 대한 입장은 어떻다고 보나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3개국 정상회의가 연내 개최될 가능성이 있고 자주 거론되는 표현인만큼 질문을 드립니다. 그전에는 '한중일' 이렇게 표현을 했는데 지금 정부는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지금의 윤 대통령 순방과 외교 행보를 보면 윤석열 정부가 지향하는 '글로벌 중추외교'가 본격 가동되는 것 같은데요. 외교수장으로서 한국의 국제적 역할과 위상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