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이초 사건' 이후…움트는 '교권 회복' 노력

  • 8개월 전
'서이초 사건' 이후…움트는 '교권 회복' 노력

[앵커]

서이초 교사의 극단선택 이후 교권침해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됐고, 당국은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사망 교사의 49재를 앞둔 가운데 교육 현장에서도 변화의 모습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데요.

정래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극단적 선택을 한 서이초 교사는 생전 학부모 민원에 괴로움을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권 회복은 오랜 과제였지만,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우선 교육부에서는 교권 회복을 위한 종합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사회와 교육 현장의 크나큰 위기이지만 동시에 교권을 회복하고 교육공동체를 구현하는 기회가 되어야 한다는 비장한 각오로…"

교육부는 학부모 민원을 교사 개개인이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 응대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학생이 교육활동을 침해하면 교사로부터 즉시 분리하고, 심하면 학교생활 기록에 남기는 방안도 포함됐습니다.

이후 교육부 고시가 확정되면서 지난 1일부터 일부가 교육 현장에 실제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은 교실 밖으로 내보내고, 휴대전화도 압수할 수 있게 했습니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메신저 '하이톡'에서는 학부모 연락을 교사가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 추가했습니다.

"아예 그냥 끌 수가 있어요. '저는 이 기능을 사용 안 합니다'라고 해서 아예 오프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기능 추가를 이번에 했습니다."

개인번호를 노출하지 않는 걸 넘어서, 아예 원하는 때에는 메시지 수신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긴 겁니다.

교사들이 가르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국과 관련 업체들의 노력이 변화를 만들어낼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 TV 정래원입니다. (one@yna.co.kr)

#교권회복 #서이초 #변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