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누리호, 통신 이상 해결 '이상무'…"안정적 작동 최종 확인"

  • 작년
[뉴스특보] 누리호, 통신 이상 해결 '이상무'…"안정적 작동 최종 확인"


이제 2시간도 채 남지 않았는데요. 오늘 저녁 6시 24분에 누리호가 발사됩니다.

어제 발사를 약 3시간을 앞두고 일정이 연기됐는데, 밤샘 점검과 정비 끝에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성수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오늘 오전 열린 발사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확인했고, 또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는데요. 제어프로그램 문제였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항우연이 반복적으로 시험작업을 했고 다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걸 확인하고 발사 재개를 판단했다고 하는데요. 발사 전 문제를 발견하고 빨리 해결한 것도, 앞으로 우주과학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란 생각도 듭니다?

발사를 방해할 수 있는 변수 중 하나가 날씨인데요. 다행히 오늘 고흥은 날씨가 굉장히 맑다고 하죠. 실제로 발사 일자를 정할 때는 다양한 우주 충돌 가능성까지 미리 점검을 한다면서요?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가 오늘 저녁 6시 24분에 누리호를 다시 발사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어제와 같은 시각인데, 이 시간을 선택한 이유가 있다면서요?

발사가 시작되면 로켓과 페어링이 차례로 분리되죠? 그 과정을 설명해주시겠습니까?

지난해 6월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한 모습을 기억하시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이번에 사실상의 첫 실전 발사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을까요?

이번에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비롯해 큐브 위성 등 총 8기의 실용위성이 탑재되는데요. 이 실용위성들은 어떤 임무를 갖고 있나요?

목표 궤도 내에 위성 8기를 20초마다 정확히 사출했는지 여부가 누리호 발사 성공의 기준이 되겠죠.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누리호의 3차 발사가 기존과 다른 점 중 하나는 민간 기업이 발사 과정에 참여했다는 건데요. 그동안 누리호 제작부터 발사 과정을 정부가 총괄했지만 이번에 민간 기업이 참여한 것,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우주개발 분야는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등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고 있죠. 이번 발사를 계기로 머지 않은 미래에 대한민국의 민간기업들도 발사 운영을 할 수 있게 될까요?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은 다른 우주 선진국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우주산업의 경제적 가치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누리호가 발사체 기술 국산화를 이뤄낸 데 이어 선진국들이 독점하고 있는 핵심 위성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도전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앞으로 남은 과제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