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서비스 제공하고 AI 투입…고독사 20% 줄인다

  • 작년
돌봄서비스 제공하고 AI 투입…고독사 20% 줄인다

[앵커]

정부가 2027년까지 고독사를 20% 줄이겠다며 대책을 내놨습니다.

연령대별로 위험군을 찾아 각종 지원을 하겠다는 계획인데요.

무엇보다 지속적인 관심과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최덕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서 50대 지체 장애인이, 앞서 8일엔 서울 송파에서 60대 여성이 숨진 지 한참 지나 시신이 부패한 채로 발견됐습니다.

이런 고독사는 2017년 2,412건에서 2021년 3,378건으로 약 40% 급증했습니다.

특히, 2021년엔 고독사의 59% 가까이가 50~60대였는데, 정부가 돌봄 서비스를 통한 중장년 고독사 감축 방침을 내놨습니다.

목표는 재작년 사망자 100명당 1.06명인 고독사 수를 4년 뒤 0.85명까지 20% 낮추는 겁니다.

"중장년을 대상으로 돌봄, 병원 동행 같은 일상생활 부담을 경감해주는 생활지원 서비스를 새롭게 마련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6월 초에 저희가 대책을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또 인공지능을 활용해 전력 사용량이 현저히 줄면 안부를 묻거나, 이장·반장·통장 등 지역 대표자들을 고독사 예방 인력으로 양성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고독사 중 자살 비율이 높게 나타난 20대와 30대 등 청년층은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취업 지원 사업을 강화합니다.

전문가들은 각종 대책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아야 한다며 고독사 위험군과의 지속적 관계 유지가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접근을 해야 되는데, 처음에는 문도 안 열어줘요. 계속 찾아가서 관심을 보이고 이러면서 밖으로 조금씩 나오게 되고 '이렇게 사는 거구나'라는…."

복지부는 또 고독사 실태 파악 주기도 현행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

#고독사 #위험군 #50대 #60대 #청년 #AI #지원 #지속적_관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