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3주년 5·18 민중항쟁 전야제…추모 열기 고조

  • 작년
제43주년 5·18 민중항쟁 전야제…추모 열기 고조

[앵커]

내일(18일) 5·18 민주화운동 제43주년을 앞두고 추모 열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80년 5월 역사의 현장인 광주 금남로에서는 전야제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경인 기자.

[기자]

네, 광주 금남로입니다.

금남로에는 시민 수천 명이 운집했는데요.

광주는 오늘 80년 5월 항쟁의 현장으로 돌아갔습니다.

제43주년 5·18민중항쟁 전야제는 조금 전 시작됐습니다.

5·18 당시 가두행진을 재현한 행진 행렬이 금남로로 들어오면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습니다.

올해 전야제 주제는 '끝까지 우리들은 정의파다'입니다.

오월의 대동정신, 그리고 함께하는 공동체 정신을 예술로 승화한 총체극과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총체극에서는 5·18 당시 산화한 이정연 열사의 삶이 재조명됩니다.

전야제에 앞서 금남로에서는 시민 난장이 펼쳐졌는데요.

금남로는 오늘 하루 종일 추모의 장이자, 축제의 장이었습니다.

[앵커]

오늘(17일) 오전 문재인 전 대통령이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김정숙 여사와 함께 오늘 오전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의 광주 방문과 5·18묘지 참배는 퇴임 이후 처음인데요.

전직 대통령의 5·18묘지 참배는 세 번째입니다.

문 전 대통령은 "5·18민주항쟁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요구와 관련해서는 "정치인들이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오전에는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도 5·18묘지를 찾았는데요.

5·18유족회의 추모식에 참석했습니다.

전씨는 이 자리에서 할아버지를 대신해 오월 가족들에게 재차 허리 숙여 사죄했습니다.

[앵커]

내일 제43주년 5·18 기념식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기자]

네, 기념식은 내일 오전 10시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거행됩니다.

올해는 '오월 정신, 국민과 함께'라는 주제로 45분간 진행되는데요.

여야 국회의원을 비롯해 모두 3천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올해 기념식에서는 '오월의 어머니들'을 특별 조명하는데요.

가족을 잃고 살아온 오월 어머니들을 만나고, 가수 나훈아 씨의 노래 '엄니'를 헌정곡으로 바칩니다.

기념식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함께 마무리됩니다.

지금까지 광주 금남로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kikim@yna.co.kr)

#5·18민주화운동 #전야제 #기념식 #문재인 #전우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