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한은 금리 결정 주목

  • 작년
[뉴스포커스] 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한은 금리 결정 주목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또 0.25%p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했습니다.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게 됐는데요.

상단이 5.25%까지 오르면서 한국과의 금리 차도 최고 1.75%p, 역대 최대차로 벌어져 자본 유출 등 경제적 피해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오늘 새벽 미 연방 FOMC 회의에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또다시 0.25%p 인상하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했습니다. 3차례 연속 베이비스텝을 단행한 것이자,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한 건데요. 이번 베이비스텝 단행도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을 했었는데, 미국에서 10회 연속 금리를 계속해서 인상했던 적이 있었나요?

이번에 0.25%p 또 인상한 이후, 과연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인가 많은 분들이 FOMC 정례회의가 끝난 뒤 연준이 발표한 성명서를 주목했을 텐데, 3월과 비교해 달라진 점이 있나요?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FOMC 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는 "오늘 금리 동결이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긋기도 했는데요. 그러면서도 '예상'이라는 단어가 사라진 이 문장을 직접 언급하면서 "의미 있는 변화"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이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이르면 다음 달 13일부터 이틀간 FOMC 정례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 미 연준 발표를 종합해 볼 때, 다음번부터는 금리 동결이 결정될 수도 있다고 보시나요?

금리인하는 없다는 파월의 말에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는데요. 현재 미국 경기는 어떤가요? 실업률이 3.5%로 역사상 유례없는 실업률이라고 하던데, 미국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고 봐야 하나요?

현재 미국에서는 부채한도 협상도 또 하나의 이슈인데요. 미국의 부채 한도가 엄청나다고 하는데, 지금 언론에서 회자되고 있는 미 정부의 지불 능력이 상실되는 디폴트 예정일, 이른바 엑스데이가 6월 1일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하는데, 이건 어떤 얘기인가요?

만일 미국에 디폴트가 오게 되면 미국 경제는 물론이고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건가요?

퍼스트 리퍼블릭 인수한 JP 모건 회장은 금융 위기는 끝났다고 이야기하기도 했지만, 올해 들어서만 4개의 지역은행이 연쇄 파산했습니다. 미국의 은행주들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고 하는데, 현재 미국의 금융위기 확산은 어느 정도 잡혔다고 봐야 하나요?

미국 은행들의 잇단 파산도 연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될 텐데, 미 상하원 민주당 의원들이 파월 의장에게 인상을 중단할 것을 호소하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고 하는데, 지금보다 미국의 금융 위기가 더 악화한다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도 있을까요?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또다시 0.25%p 올리면서 한미 금리차도 최고 1.75%p로 역대 최대차로 벌어진 상태인데요. 한미 금리 차가 커지게 되면 자본 유출이 우려가 있지만, 교수님께선 지금까지는 큰 문제가 없을 거라고 하셨습니다.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임에도 괜찮을까요?

현재 원달러 환율은 최근 연고점을 갱신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현재 강달러 기세가 한풀 꺾인 상황인데도, 환율이 높아지는 건 왜 그런 건가요?

한미 금리역전 역대 최대차에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한은 금통위는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에도 지난달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면서 미국과 22년 만에 가장 큰 금리 격차를 유지한 바 있습니다. 이번 달에는 어떤 결정을 내릴 거라 예상하십니까?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7%로 둔화한 것과 관련해 좋은 소식이라 평가하면서도 기준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며 정책전환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는데요. 이달 한은의 금리 결정에 어떤 것들이 영향을 줄 수 있나요?

국내 경제 상황도 잠시 짚어보겠습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내려왔습니다. 물가가 안정돼가고 있다고 봐도 되겠습니까?

지난달 햄버거 물가상승률이 17.1%로 1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햄버거를 비롯해 피자나 치킨 등 외식 물가는 고공행진 중이다 보니 물가 안정을 실감할 수 없을 것 같거든요? 정부가 인상 자제 요청을 하고 있음에도 계속해서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