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강릉 산불 '재발화' 위험…헬기투입 뒷불감시 계속

  • 작년
[뉴스포커스] 강릉 산불 '재발화' 위험…헬기투입 뒷불감시 계속


어제 오전 8시쯤 발생한 강릉 산불이 8시간만의 사투 끝에 불길은 잡았지만, 축구장 면적의 530배에 해당하는 규모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민가까지 덮쳐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는데요.

산림당국은 오늘관계기간과 합동감식으로 화재 원인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관련 내용들,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어제 오전 8시 20분쯤 발생한 강릉 산불이 발화 8시간만인 오후 4시반 쯤 주불 진화가 완료 됐다고 했었는데요. 그 이후에도 재발화 의심 신고들이 들어오면서 자정이 될 때까지도 긴장을 놓지 못했다고 합니다. 오늘도 헬기를 투입해 잔불 정리를 한다고 하는데, 이제는 안심해도 되는 상황인가요? 현재 상황에서는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가요?

산림당국은 산불 발생 1시간 만에 소방 3단계를 발령했는데요. 올해 들어 소방대응 3단계 발령은 처음이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상황이 위험하고 또 큰 산불이었다는 건데, 이번 강릉 산불의 피해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8시간에 축구장 530개 규모의 산림이 잿더미가 되고 시설물도 101곳이나 피해를 입었습니다. 8시간 동안 너무 큰 피해를 입은 것 같은데, 그 원인은 뭐라고 보십니까?

산불 발생 시 조기 진화의 핵심은 헬기인데요. 강풍으로 헬기가 6시간 동안 뜨지 못했기 때문에 지상에서 진화할 수밖에 없었는데, 지상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비라든가 살수차 등은 충분한가요?

1차 조사 결과 강풍으로 나무가 부러지면서 전선을 단선시켜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 혹시 다른 원인일 가능성도 있을까요?

강풍의 근본적인 원인은 봄철 대형 산불의 주범인 '양간지풍'이었다고 하는데, 결국은 날씨 때문에 발생한 자연재해였다고 봐야하는 건지, 아니면 미리 대비하면 막을 수 있는 인재였는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강풍에 소나무가 쓰러졌다고 하는데, 초속 30m면 어느 정도 바람이 분다고 보면 되는 건가요?

양간지풍 또는 양강지풍이라는 것이 특이한 기상현상이긴 하나 봄철이 되면 동해안 지역에 종종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다 보니 봄철 산불의 주범이라는 연구결과도 많이 나와 있다고 하는데요. 산불이 나기 전에 미리 대비하거나 산불이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 같은 건 없는 건가요?

피해를 키운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소나무였습니다. 산불이 나면 소나무가 불쏘시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는데요. 산불피해 후에도 피해지에 계속해서 소나무를 심고 있다고 하는데, 다른 나무들을 심으면 안 되나요?

어제 오후 3시반쯤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내리면서 1시간 뒤 주불이 100% 진화됐는데요. 산불이 난 지역과 대부분 지역의 비의 양은 5mm가 안됐지만, 이것이 주불 진화 완료에 큰 도움이 됐다고 봐야 할까요?

주택가와 펜션 등 시설물 101개소가 전소되거나 일부가 탔고, 안타깝게도 주민 1명이 전소된 주택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김진태 강원지사는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중앙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자연재해나 사회재난이 발생했을 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문화재 소실 부분도 한번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이 경포대 인근으로 확산하면서 일부 문화재에도 피해가 발생하긴 했는데, 그래도 사전에 살수 작업 등을 통해서 큰 피해는 막았다고 하더라고요?

2005년 4월에는 양양에서 두 차례나 대형 산불이 발생해 천년 고찰인 낙산사가 불에 탄 적이 있었는데요. 문화재가 있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미리 대비를 하거나 문화재를 지킬 수 있는 대응 매뉴얼이 있나요?

이번에 강릉에 있는 주택이나 펜션 등의 피해도 컸는데요. 이번에도 정말 불길이 빠르게 번졌는데, 인근에 산에서 불이 났을 때, 인근에 있는 민가나 펜션에 있는 투숙객들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영동지역의 봄철 대형 산불은 거의 매년 연례행사처럼 반복이 되고 있습니다. 산불이 발생하고 난 뒤 복구도 중요하겠지만, 장기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방재 전문가로서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오늘도 강릉을 비롯한 강원 영동지역에는 강풍이 예고가 되어 있는데요. 어제 산불은 잔불까지 거의 잡혔다고 하더라도 어제와 같은 산불이 또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일 텐데, 산림당국에서는 또 다시 발생할 수도 있는 산불을 대비해 어떤 것들을 할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