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카·제주2공항 허가…환경파괴 논란 재점화

  • 작년
케이블카·제주2공항 허가…환경파괴 논란 재점화

[앵커]

최근 설악산 케이블카와 제주 제2공항 사업이 잇따라 환경부 관문을 넘어서면서 큰 관심이 쏠리고 있죠.

환경파괴 논란이 재점화된 가운데 시민단체들은 환경부 장관의 사퇴를 요구하며 반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환경부가 내놓는 발표마다 환경 시민단체들의 반발을 부르고 있습니다.

논란의 중심에는 '설악산 국립공원 오색케이블카 사업' 환경영향평가와 '제주 제2공항 건설'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조건부 동의' 판단이 있습니다.

그간 찬-반 논란 속 설악산 오색케이블카는 41년을, 제주 제2공항은 8년을 끌어 온 사업입니다.

"환경보전의 직무를 포기한 환경부를 규탄한다. 부끄러움을 잊은 채 대통령의 눈치만 살피며 환경부의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만든 한화진 장관의 사퇴를 촉구한다."

설악산 케이블카는 강원 양양군 서면 오색리부터 설악산 최고봉인 대청봉에서 직선거리로 1.52km 떨어진 끝청 하단을 연결하는 사업입니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란 기대와 멸종위기 산양 생태교란 우려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일단 강원도와 양양군은 연내 착공을 서둘러 2026년 운영을 시작한다는 방침입니다.

제주 제2공항 사업에 대한 환경부의 조건부 동의 결정은 낙후된 동부 지역의 균형 발전과 법정보호종 보호, 지하수의 통로가 될 숨골 훼손 주장 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송도갯벌에 교각을 설치해야 하는 송도배곧대교 건설을 지자체가 계속 사업 추진을 결정하는 등 다른 지역으로도 파장이 예상됩니다.

"전국 곳곳에서 환경의 가치를 지키고자 막고 있는 난개발이 더욱더 확산될 꺼라고 생각합니다."

개발 사업을 둘러싼 찬반 양측의 입장은 평행선인 가운데 갈등 해법을 찾기 위한 환경부의 고민은 여전히 필요한 지점입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goodman@yna.co.kr)

#설악산_케이블카#제주_제2공항#환경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