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포동의안' 부결…민주당서 무더기 이탈표 나온 듯

  • 작년
'이재명 체포동의안' 부결…민주당서 무더기 이탈표 나온 듯

[앵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국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수강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부결됐습니다.

모두 297표 중 가결 139표, 부결 138표, 기권 9표에 무효표 11표로 부결이 선포됐습니다.

체포동의 찬성표가 반대표보다 많았지만, 표결에 참여한 의원 297명의 과반인 149표를 얻지 못해 동의안이 부결된 겁니다.

압도적 부결을 장담했던 민주당 지도부의 목표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결과인데요.

앞서 오후 2시 반부터 열린 국회 본회의에선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첫번째 안건으로 올랐는데요.

표결 시작에 앞서 단상에 오른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체포동의안 요청 이유를 15분가량 설명했습니다.

한 장관은 대장동 개발비리 의혹을 두고 "영업사원이 100만 원짜리 휴대폰을 주인 몰래 아는 사람에게 미리 짜고 10만 원에 판 것"이라고 비유를 들었는데요.

한 장관의 발언이 끝나고 이 대표도 수사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신상 발언에 5분가량 나섰는데요.

이 대표는 "뚜렷한 혐의도 없이 제1야당 대표를 구속시키려는 헌정사상 초유의 이번 사태는 대한민국 정치사에 역사적인 한 장면으로 남을 것"이라고 맞받았습니다.

[앵커]

오늘 표결 결과가 발표되기까지 한참 지연이 됐죠?

그 이유가 뭔가요?

[기자]

네, 오늘 투표가 진행되고 난 뒤 결과 발표에 앞서 검표가 한참동안 지연됐습니다.

표기가 모호한 표 두 장이 나왔기 때문인데요.

앞서 오늘 투표는 각 의원들이 기표소 안에 들어가 투표지에 가 또는 부를 적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근데 두 장의 표에 적힌 글자를 놓고 여야 간 이견이 발생하면서 무효표로 처리할지 말지를 두고 충돌이 이어졌습니다.

김진표 의장은 양당 원내대표와의 협의까지 진행했는데요.

문제가 된 이 두 표를 제외한 나머지 표 먼저 확인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결국 김 의장은 두 표 중 한 표는 부표, 한 표는 무효표로 간주해 표결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앵커]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부결됐지만, 이 대표로선 상당한 짐을 짊어진 모습입니다.

오늘 표결 결과의 의미에 대해 설명을 해주시죠.

[기자]

검찰은 체포동의안 가결 시 법원의 영장실질심사를 통해 이 대표의 신병을 확보한 뒤 구속 수사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이었는데요.

검찰의 이런 목표는 일단 무산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이 대표로선 초유의 제1야당 대표 구속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게 됐는데요.

하지만 오늘 표결은 부결로 끝나긴 했지만, 이 대표로선 상당히 곤혹스런 결과를 받아든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압도적 부결을 자신한 민주당 지도부의 예상과 달리 체포동의안 찬성표가 반대표보다 더 많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오늘 부결 표수는 모두 138표로, 지난번 노웅래 민주당 의원의 체포동의안 때 나온 부결 표 161명에 비해 훨씬 못 미칩니다.

특히 민주당 의원 169명이 모두 표결에 참여했음을 감안하면, 민주당 내부에서도 상당한 반란표가 나온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대표는 영장심사를 일단 피하게 됐지만,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우선 당내 비명계를 중심으로 이 대표가 거취를 결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왔다는 점이 부담입니다.

비명계 일각에선 이 대표가 체포동의안 부결 후 당 대표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는데요.

오늘 표결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당내 우려가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어 이 대표로선 검찰 수사와 별개로 당내 리더십까지 영향을 받는 등 이중의 시험대에 직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검찰이 쌍방울그룹의 대복송금 의혹 등 이 대표를 둘러싼 다른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변수입니다.

일각에선 검찰이 다른 혐의까지 묶어서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다시 청구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는 만큼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imsooka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