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난제' 강제징용 해법 마련에 속도…진통도 불가피

  • 작년
'한일관계 난제' 강제징용 해법 마련에 속도…진통도 불가피

[앵커]

일본 전범기업들의 강제징용 해법 문제는 한일 관계의 최대 난제로 꼽힙니다.

외교부는 피해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해결안을 다음 달쯤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정부가 제시한 안에 일본 정부나 기업의 사과는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진통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는 데 목표를 뒀습니다.

한일 간 최대 갈등 현안의 실타래를 풀어서 경제 분야를 비롯해 민간 교류 확대를 꾀하겠다는 겁니다.

"양국 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현안인 강제징용 문제가 원만하게 해결이 되면 수출규제도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외교부는 4차례 열린 민관협의회와 외교부 장관과 피해자 간 면담, 공개 토론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해왔습니다.

정부는 검토 결과를 토대로 국내 기업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배상금을 변제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피해자 측 반발은 지속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와 미쓰비시중공업을 포함한 전범기업의 사과와 배상 참여 등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일본이 사죄를 합니까 아니면 돈을 내놓습니까? 0점짜리 외교, 구걸 외교, 능력 없는 외교를 왜 우리 국민들과 애꿎은 기업들한테 참가시킵니까?"

정부안이 처음 공개된 징용 해법 토론회는 고성이 난무한 채 끝났습니다.

"공개적인 자리에서 서로의 의견에 대해서 토론하거나 질문에 대해서 답변하고, 그 답변에 대해서 재질문할 수 있는 기회가 전혀 없는 자리였습니다."

외교부는 배상금 지급 문제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지속 경청하고 피해자들 동의를 얻겠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피해자 측 반응은 여전히 냉담합니다.

한 피해자 지원단체는 정부안 내용과 절차상 문제점을 논의하는 공개토론회를 열 예정입니다.

외교부가 다음 달쯤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 최종 해법안에 더욱 관심이 쏠리게 됐습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hyunspirit@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