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공은 일본으로‥한일의원연맹 긴급 방일

  • 작년
◀ 앵커 ▶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배상 판결의 해법을 공식적으로 밝힌 오늘, 일본 정부는 말을 아꼈습니다.

정례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한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하겠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습니다.

도쿄에서 현영준 특파원이 전해 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

미쓰비시나 일본제철 등 가해기업 대신 제3자의 기부로 배상금을 마련하겠다는 우리 정부의 발표에 대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관방장관은 즉답을 피했습니다.

[마쓰노 히로카즈/일본 관방장관]
"한국 국내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대해 코멘트하는 것은 삼가도록 하겠습니다."

거듭된 질문에도 나오는 답변은 원론적인 수준을 넘지 않았습니다.

[마쓰노 히로카즈/일본 관방장관]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쌓아온 우호협력관계의 기반을 바탕으로 한일관계를 건전한 형태로 되돌리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한국정부와 긴밀히 의사소통을 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일본 역시 성의있는 대응이 필요하다며, 일본 기업의 사죄와 자발적인 기금 납부를 요구해 왔습니다.

그러나 일본 보수지지층은 이미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마무리된 사안이라며 사죄나 기금 납부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제시한 방안에 일본 정부나 기업의 참여가 명시돼 있지는 않지만,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정진석 의원은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해선 일본 정부와 기업이 감당해야 할 몫이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광고 ##오늘 밤 정진석 의원 등 한일의원연맹 소속 여야 의원 10명은 일본을 긴급 방문해 일본 국회의원과 마쓰노 관방장관을 만나 해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제 공은 일본 정부에 넘어갔습니다.

그러나, 우리 정부의 요구대로 일본 정부가 가해 기업의 사죄와 자발적 기금 납부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도쿄에서 MBC뉴스 현영준입니다.

영상취재:이장식, 김진호(도쿄) / 영상편집:권지은영상취재:이장식, 김진호(도쿄) / 영상편집:권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