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주최자 없는 축제, 인파 관리 매뉴얼 시급

  • 2년 전
[뉴스특보] 주최자 없는 축제, 인파 관리 매뉴얼 시급


이태원 참사 사망자 분향소를 찾은 사람들, 울음을 터뜨리고 눈물을 쏟아냅니다.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벌어졌고 누군가는 그 아픔을 고스란히 안고 살아가야 합니다.

큰 사고가 발생하면 누군가는 사과하고 누군가는 대책을 내놓지만, 그때뿐이란 생각이 드는 건 왜일까요?

오늘 제진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명예 교수, 김호중 순천향대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모시고 앞으로 필요한 대응 방안과 대책에 대해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치료를 받던 중상자가 추가로 사망하면서 사망자는 156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사상자 수가 앞으로도 변동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사고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환자들이 몰렸습니다. 그러면서 중상자와 경상자 등 환자 분류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이렇게 대형 사고가 발생할 시 환자 병원 배정은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사망 원인으로 흉부 압박으로 인한 질식사, 혈복강이 거론됩니다. 당시 선 채로 의식을 잃고 쓰러진 분들도 있다고 하는데, 군중들이 몰릴 때 압력이 얼마나 센 건가요?

현재 대규모 행사와 관련한 안전 법령이나 매뉴얼이 없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2006년 소방청이 사람들이 많이 모일 때를 대비해 매뉴얼 체계를 만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무용지물이 된 이유가 뭘까요?

사고 발생 사흘 전(지난달 26일) 용산구와 이태원 상인들, 이태원역장이 핼러윈 대비 간담회를 열었고, 사고 위험성에 대한 언급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럼에도 왜 미리 대비를 하지 못했는지 아쉬운데요, 어떤 문제점 있다고 보시나요?

이번 사고로 응급조치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요. 사고 현장에서처럼 환자를 돌볼 손이 모자란 경우, 일반인들이 응급조치를 도울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

이번 참사를 계기로 군중 밀집도에 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이 나옵니다. 장소에 따라 몇 미터당 몇 명 등 최대 인원을 제한할 수 있는 매뉴얼이 필요해 보이는데, 의견을 주신다면요?

이른바 지옥철이라고 하죠. 만원 지하철과 스탠딩 콘서트 등 일상 속 과밀 문화에 익숙해져 있는 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 번 돌아볼 필요성 있을 듯한데요?

당시 사고에서 간신히 빠져나온 생존자들 중에서 '멍이 들었다'고 호소하는 분들도 있는데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 질 수도 있는 건가요? 아니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것이 좋을까요?

SNS에서 본사고 현장 모습이 일상생활 중에도 계속 생각난다던가, 또 사람들이 많은 지하철을 타기 힘들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조언을 해주신다면요?

#이태원참사 #분향소_조문 #대형사고 #흉부압박 #응급조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