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 사태, 플랫폼 독점의 민낯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 2년 전
카카오 '먹통' 사태, 플랫폼 독점의 민낯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이광빈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영상구성]

[리드멘트: 이광빈 기자]

카카오 '먹통' 사태. 원인과 대책이 많이 논의됐고, 국정감사에서도 집중 질의가 이어졌었습니다.

뉴스프리즘은 중요하지만, 아직 주목받지 않은 문제점에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

소방관들이 왜 가장 두려워하는 화재 유형이었는지, IT 강국임에도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친환경·안보 인식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어떻게 뒤처졌는지, 플랫폼 독점 규제의 요체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전기차와, 휴대전화, 무선청소기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최근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에서도 이 리튬이온배터리가 발화점으로 추정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불길을 잡기 어려운 리튬배터리 화재. 더구나 지하에서 발생했는데요.

소방관들이 무턱대고 진입할 수 없는 유형의 화재입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효율적인 리튬이온 배터리…불 나면 속수무책 / 소재형 기자]

리튬이온배터리는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덕에 휴대전화와 전동킥보드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재가 발생한 데이터센터에서도 마찬가지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됐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기존에 많은 곳에서 사용되던 납축전지보다 가볍고, 에너지밀도가 높습니다.

그만큼 한정된 공간에 많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수많은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물리적 충격 등 외부적 요인에 취약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힙니다.

과충전 상태에서 오랜 시간 높은 온도에 방치되면 이른바 열폭주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다, 외부 요인으로 분리막이 손상되면 급격한 화학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격에 약해 상대적으로 폭발이나 큰 화재로 이어지기 쉬운 겁니다.

진압에도 까다로운 점이 많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화재 시 내부가 다 타버릴 때까지 꺼지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 화재보다 불이 번지기 더 쉽고 진압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일쑤입니다.

"심부까지 물이 도달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릴뿐더러 직접적으로 물이 닿는지에 대한 판단도 모호한 부분이 있고. 배터리가 다 탈 때까지 진화에 오랜 시간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 대규모 먹통 사태를 일으켰던 SK C&C 화재에서도 배터리 설비들이 지하에 설치된 탓에 진압에 어려움을 겪은 바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최근 급속도로 늘고 있는 전기차 충전소도 밀폐된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에 설치된 경우가 많아 화재 시 큰불로 확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설치 기준은 전무합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이같은 점이 지적됐습니다.

국회 과방위 윤영찬 의원은 "SK C&C가 납축전지를 쓰던 그 설계 그대로 리튬이온배터리를 쓴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충분히 냉각을 시켜주면서 리튬을 구획 할 수 있는 이런 방법들이 필요로 한데요. 다른 쪽까지 위험성이 전이되지 않게끔 하는 부분 이런 부분을 중심으로 해결방안이 검토될 필요성이 있겠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저고체배터리 상용화가 아직 요원한 상태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입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코너 : 이광빈 기자]

데이터센터, 보통 시민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이 아닙니다. 시민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는 데이터센터가 없으면 작동하지 않는데요.

카카오 '먹통' 사태로 데이터센터가 관심을 받았는데, 주목받지 않은 중요한 지점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인터넷에서 검색을 몇 분간 했을 경우 소모되는 전력량은 어느 정도일까요. 보통 주전자 물을 끓이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렇듯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으로 데이터를 사용할 때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데이터센터가 계속 늘어나는 이유겠죠. 데이터센터는 서버 가동을 위해서도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데에도 전체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의 절반이나 들어갑니다.

그런데, 우리 데이터 센터는 수도권에 몰려 있습니다. 신규 데이터 센터의 대부분도 수도권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렇게 되면 수도권에 전력망 운영 비용이 증가합니다. 수도권 전력 수급도 불안해집니다. 지난해 전국 데이터센터 전력사용량은 서울 강남구의 전력사용량에 버금갈 정도입니다.

특히 수도권이 휴전선과 가깝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보상 위협 문제까지 지적됩니다.

그래서 데이터센터를 지방으로 분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는데요.

기업들은 데이터센터를 수도권에 두는 이유 중 하나로, 지방에선 전문인력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이유도 듭니다.

그런데, 데이터센터에는 실제 근무 인력이 별로 없습니다. 원격으로 운영이 가능합니다.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몰리는 것을 두고, 장기적인 부동산 투자도 겸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지방보다 부동산 투자가 더 유망한 수도권에 대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짓는 것인데, 데이터센터를 통해 임대업도 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의 부동산투자를 위해 한전의 전력망 운영 비용은 증가할 수 있는데, 한전의 늘어나는 부채는 결국 국민이 부담해야 하는 몫입니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친환경에너지 사용을 너무 등한시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최근에서야 수력발전소 인근에 데이터를 짓고, 친환경적인 설계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일부에 불과합니다.

유럽에서 데이터센터 허브로 부상한 네덜란드의 경우,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85%가 녹색에너지입니다.

더구나 암스테르담에서는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가정과 사무실 난방에 사용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체 데이터센터를 친환경에너지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바다 밑으로 내려보내기도 하고 여러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