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재유행 막바지…7차 유행 변수는 '변이·2가 백신'

  • 2년 전
6차 재유행 막바지…7차 유행 변수는 '변이·2가 백신'

[앵커]

이번 여름에 시작된 코로나 재유행이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일상 회복을 위한 출구전략을 짜면서 다가올 겨울철 재유행을 대비할 방침인데요.

유행에 따른 위험의 최소화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7월 초 시작된 코로나 6차 재유행은 서서히 끝자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8월 중순 정점을 찍은 뒤, 최근 확진자는 재유행 초기 수준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다음 재유행은 12월에서 내년 3월 사이 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은 충분한 수준의 면역이 형성돼 단기간 내 재확산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예측이 빗나갈 여지는 있습니다.

가장 경계할 대상은 새로운 변이의 출현입니다.

기존 '켄타우로스' 변이보다 면역회피력이 더 강하다고 알려진 BA 2.75.2 변이와 BF.7 이란 새 변이가 최근 국내에서도 발견됐습니다.

전파 양상에 따라 재유행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하는 겁니다.

"델타나 오미크론 BA.1, BA.5, 다 미미하게 시작했지만, 끝은 창대해졌지 않습니까. 입국 시에 PCR 검사도 안 하니까 이젠 깜깜이 유입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겠죠."

방역당국은 고위험군 보호를 강조하지만, 대응은 일부 미흡한 게 사실입니다.

특히 접촉면회가 시작된 요양병원·시설의 경우 계획대로면 8월까지 감염예방 환기설비 기준이 마련됐어야 했지만,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환기공조시설 기준 관련해서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서 연구 용역 진행 중입니다."

위중증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도 연일 강조되지만, 2가 백신 초기 예약률이 대상자 대비 1%가 채 안 되는 등 좀처럼 동력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도 변수로 꼽힙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

#재유행 #변이 #2가_백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