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보증금 사고 지역 공개…수도권 대부분 차지

  • 2년 전
전세 보증금 사고 지역 공개…수도권 대부분 차지

[앵커]

정부가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전국의 보증금 사고 발생 지역과 전세가율을 공개했습니다.

보증금 사고는 주로 수도권에 집중됐는데요.

국토부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팽재용 기자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말씀하신 대로 국토교통부가 전세사기 근절 후속 대책으로 오늘 전국의 전세가율과 보증 사고 지역을 공개했습니다.

지난달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보증 사고는 511건 발생했습니다. 금액은 1,089억 원에 달합니다.

정부가 이같은 보증 사고가 난 지역을 구체적으로 공개했는데, 사고의 93%가 수도권에서 발생했습니다.

서울 강서구에서만 60건의 보증 사고가 발생해 가장 많았고, 인천 미추홀구 53건, 경기 부천시 51건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모두 연립·다세대 주택이 밀집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또 전셋값이 매매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거래돼 전세가율이 높기도 했습니다.

최근 3개월의 서울 강서구와 인천 미추홀구 연립·다세대 주택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각각 86.4%, 93.3%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서구 등촌동의 경우 전세가율이 105%로 전셋값이 집값을 웃돌기도 했습니다.

[앵커]

전셋값이 매매 가격을 웃도는 지역도 이번에 다수 공개가 됐죠?

어느 지역이 포함됐나요?

[기자]

네, 앞서 말씀들인 강서구 등촌동의 경우처럼, 전세가율이 100%를 넘기면 전셋값이 매매 가격을 넘겼다는 의미인데요.

최근 3개월을 기준으로, 서울 영등포동1가의 아파트, 경기 화성시 연립·다세대주택, 부산 연제구의 연립·다세대주택 등이 전세가율 10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부는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의 모든 전세매물이 문제가 있는 건 아니지만, 위험계약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국토부는 보증 사고, 전세가율 등의 정보를 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매달 내용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또한 전세사기 피해 지역을 선정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관련 내용을 통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국토교통부에서 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 (paengman@yna.co.kr)

#보증사고 #서울 강서 최다 #전세가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