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코로나 후유증'…"치료 기준 마련 서둘러야"

  • 2년 전
늘어나는 '코로나 후유증'…"치료 기준 마련 서둘러야"

[앵커]

코로나19 확진자가 줄고는 있지만 누적으론 1,800만 명이 넘습니다.

자연히 후유증, 이른바 '롱코비드'를 겪는 분들이 많은데요.

재유행이 오기 전 서둘러 후유증 치료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새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4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이은정 씨.

두 달이 지난 지금도 피로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 달까지는 감기가 기침이 약간 좀 있었고, 그 이후에 불안감이나 계속되는 긴장감 피로 이런 것들이 계속되고."

몸 상태가 이렇다 보니, 정말 나은 건지 의구심이 드는 겁니다.

"이게 완치가 완전히 될까 하는 걱정감이 제일 큰 것 같긴 한데…"

코로나 후유증은 기침, 무기력 등 복합 증상이 나타나는데, 증상 가이드라인이 없고 건강보험도 적용되지 않는 점이 문제입니다.

"롱 코비드 증상들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 정립이 안 돼 있고, 그 병의 예후에 대해서 이제 확인이 안 돼 있고 그리고 당연히 이제 급여 체계도 적용이 사실 잘 안 돼 있어요."

후유증과 재감염 구분 기준도 모호합니다.

방역당국은 대규모 조사를 통해 치료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인데, 재유행 이전 기준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후유증 때문에 생긴 증상인지 아니면 코로나에 다시 새로 감염돼서 생긴 증상인지, 아니면 또 다른 무슨 질병인지 모든 게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그러니까 이런 것들을 좀 정리를 할 필요가 있어요."

치료 기준을 마련해도, 당장 확실한 후유증 치료법이나 약은 없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증상에 맞춘 개별적 치료를 위해 적극적인 조치와 치료 참여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 (romi@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