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반도체 인력' 대책…"설익은 방안 나올라"

  • 2년 전
내달 '반도체 인력' 대책…"설익은 방안 나올라"

[앵커]

교육부가 반도체 인력난 완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학계, 산업계가 참여한 토론회에선 대학 정원 확대만이 능사가 아니란 지적이 쏟아졌는데요.

교육부는 다음달 지원 대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재양성을 주문하자 교육부는 곧바로 관련 학과 정원 늘리기, 산학 계약학과 신설을 검토하고 나섰습니다.

학계와 산업계는 이에 대해 정책 실효성을 위해서는 정원확대와 교수 부족 문제가 같이 논의돼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내년부터 10년간 석박사 같은 고급인력이 총 5,500여명 부족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학과를 만들어서 학생을 뽑으면 교수가 있어야 되지 않겠습니까. 지금 있는 학생들 가르칠 교수도 없어서 이 난리인데, 학생만 뽑아놓으면…"

기업과 대학이 계약을 맺고 만드는 계약학과 신설의 실효성이 없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정해진 기간이 끝나면 학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정규 교수 선발이 어렵고, 고가 장비·시설 지원도 받기 어렵다는 게 학계의 우려입니다.

교육부는 계약학과 신설 등 정원 확충 계획은 유지하되 교원확보와 관련해서 우선 산업체 전문인력이 교원으로 일한 후 다시 산업계로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반도체 인재양성에 대한 여러 분야 전문가분들의 소중한 제안들을 적극 검토하여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반도체 관련 민관합동 TF를 꾸린 교육부는 다음달 종합대책을 발표한다는 방침입니다.

윤 대통령의 지시 후 한달 정도 만에 지원책이 마련되는 셈인데, 교육계 일각에서는 자칫 '설익은 정책'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yigiza@yna.co.kr)

#반도체인력난 #반도체학과 #정원확대 #전문인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