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서울 인구 4분의1 감소…세종만 성장세

  • 2년 전
30년 뒤 서울 인구 4분의1 감소…세종만 성장세
[뉴스리뷰]

[앵커]

지금도 서울의 인구는 매년 줄고 있죠.

그러다 보니 2050년에는 지금의 4분의 3 정도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저출산 고령화 심화 탓인데요.

이대로라면 세종시 외엔 전국 모든 시도의 인구, 특히 일할 사람이 눈에 띄게 감소할 전망입니다.

이은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앞으로 30년 뒤인 2050년 서울의 인구 구조를 예측해봤습니다.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지금보다 더 비관적으로 잡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2020년 962만 명이던 서울 인구는 720만 명까지 쪼그라듭니다.

지금보다 약 4분의 1가량 감소하는 셈입니다.

2040년부터는 세종시를 뺀 전국 시도의 인구가 매년 줄고, 특히 울산, 대구, 부산은 30년 새 인구가 25% 이상 급감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습니다.

통계청이 2020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전망한 '시도별 장래 인구추계' 결과입니다.

인구도 줄지만, 사회는 심각하게 노령화됩니다.

"출생아 수가 급감하고 기대수명 개선으로 인구 고령화가 심해져서 2050년에는 중위연령이 7개 시·도에서 60세를 넘어설 전망입니다."

전남은 인구를 나이 순으로 줄 세울 때 한 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인 중위연령이 2050년 거의 65세에 이릅니다.

그러다 보니 경제를 지탱할 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갈수록 줄어듭니다.

2050년엔 전체 인구 절반선인 2,419만 명까지 줄 것으로 예측되는데, 특히, 대표 공업도시 울산의 생산연령인구 감소 폭이 50%로 가장 컸습니다.

"아이를 낳고 기르는 교육비나 양육비 또는 청년 세대들이 결혼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일자리나 주거지원이 함께 돼야 하는 거죠."

추세를 되돌릴 특단의 인구정책이 없는 한, 한국 사회는 조만간 가파른 인구절벽에 직면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ask@yna.co.kr)

#통계청 #인구_감소 #생산연령인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