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미접종 북한·에리트레아뿐…"인도적 위기 우려"

  • 2년 전
백신 미접종 북한·에리트레아뿐…"인도적 위기 우려"

[앵커]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도 아직 백신 접종을 시작조차 하지 않은 국가는 북한과 아프리카 에리트레아 뿐입니다.

국제사회의 백신 공급 제의를 거절한 북한의 인도적 위기 가능성에 국제사회가 북한의 재개방을 설득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영만 기자입니다.

[기사]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아직 시작하지도 않은 나라는 북한과 아프리카 에리트레아 2곳뿐이라고 미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에리트레아는 수단과 에티오피아 사이에 있는 동아프리카 국가로, 인구가 360만여 명에 이릅니다.

특히 신문은 유엔의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을 소개하며 백신 미접종에 대한 우려를 전했습니다.

지난해 300만 회 접종분의 중국 시노백 백신을 거부했고, 부작용을 우려해 200만 회 접종분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거절했습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관련 제한이 북한의 전염병 대유행을 막은 것처럼 보이지만 좀 더 넓은 범위의 보건과 경제적 결핍 등 상당한 비용을 치른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를 향해 북한 인구 2,500만 명을 접종하기 위해 6,000만 회 접종분을 북한에 들여보낼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미국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한 보고서에서 백신 미접종은 북한이 새로운 변이의 진앙이 될 위험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북한이 중국과 최소한의 무역을 제외하고는 국경을 닫아 보건과 식량 위기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인도적 위기 가능성에 대비해 국제사회가 북한의 재개방을 설득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유통이 비교적 쉬운 경구용 치료제가 북한의 재개방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제안도 거론됐습니다.

신문은 최근 중국의 대규모 발병으로 인해 또다시 고립 정책으로 돌아갔을 수 있다는 한국 내 북한 전문가의 우려도 함께 전했습니다.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kr)

#백신_미접종_국가 #북한 #새변이_진앙_위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