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사망자 99% 백신 미접종…재급증 경고

  • 3년 전
美 사망자 99% 백신 미접종…재급증 경고

[앵커]

미국도 델타 변이 확산으로 확진자가 늘고 있는데요.

중증 입원환자가 늘면서 몇 주 안에 사망자도 다시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달 사망자의 99%는 백신 미접종자인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워싱턴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경희 특파원.

[기자]

네, 미 존스홉킨스대 자료를 보면 미국은 지난 일주일간 하루 평균 1만9천400여명이 코로나19에 감염돼 그 전주에 비해 47%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감염자의 3분의 1은 백신 접종률이 낮은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아칸소, 미주리, 네바다 등 5개 주에 집중됐는데요.

이들 지역은 중환자실 입원환자도 급증하고 있어서 조만간 사망자도 다시 크게 늘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실례로 미주리 스프링필드의 한 병원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91%가 산소호흡기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는 작년 감염 절정기 때보다도 2배나 많습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백신 접종률이 낮은 젊은 층, 20∼40대로 전해졌는데요.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 그중에서도 백신 거부 경향이 강한 젊은 층에서 입원,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은 지난달 미국 내 코로나19 사망자의 99%가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이었다고 밝혔는데요.

전문가들 사이에선 좀처럼 오르지 않는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지역 사회 차원에서 접종 명령을 내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변이가 확산하는 가운데 백신 추가 접종, 이른바 부스터샷이 필요한가를 놓고는 백신 제조사와 미국 보건당국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요.

오늘 관련해 협의를 한다고요?

[기자]

네,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미 보건당국 관계자들이 만나 백신 부스터샷 긴급 승인 문제를 논의하는데요.

현재 화이자 측은 부스터샷이 필요하다는 반면 미 보건당국은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어 과연 추가 접종이 필요한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화이자 측은 임상시험 결과와 세계 각국의 보고를 근거로 백신 접종 6개월 뒤부터 면역 효과가 약해진다면서 부스터샷을 접종하면 면역 수준이 5∼10배 높아진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미 보건당국 고위관계자는 CNN에 이번 면담은 참고용이라면서 면담 이후 연방정부 차원에서 방침을 바꾸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지난주에 현재로서는 부스터샷이 필요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앞으로 과학자들이 계속 평가할 것이고 만약 그들이 부스터 샷이 권장된다는 결론을 내린다면 관련 정보를 공개적으로 제공할 것입니다."

한편 부스터샷에 신중한 미국 정부와 달리 이스라엘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화이자 백신의 부스터샷을 승인했다고 밝혔는데요.

면역력이 약한 계층부터 시작해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은 브리핑에서 백신이 아직 많은 국가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상황에서 부스터 샷을 고려 중인 일부 국가에 중단을 촉구했는데요.

또 화이자, 모더나 같은 백신 제조사들을 향해서도 접종률이 높은 국가에 부스터 샷을 공급하려 하지 말고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에 대신 공급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