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간 넘어갈 뻔"…더 교묘해진 지원금 문자 사기

  • 2년 전
"순간 넘어갈 뻔"…더 교묘해진 지원금 문자 사기

[앵커]

코로나19 정책 지원금을 빙자한 문자 사기, 어제오늘 일이 아니죠.

하지만 은행이 보낸 것으로 착각할 만큼,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영업자처럼 상황이 어려운 사람이라면 쉽게 속을 수 있어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1~2년 전쯤 유행했던 정부 지원금 관련 사기 문자입니다.

단순한 내용에, 인터넷 주소도 정부 기관이라 믿기엔 허술합니다.

하지만 사기 수법은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요즘 불특정 시민들에게 뿌려지고 있는 사기 문자입니다.

이전 사기 문자와는 달리, 마치 정부 기관이나 금융사가 보낸 것처럼 정책 이름과 접수 방법이 상세히 적혀 있습니다.

한 금융사가 진짜로 보낸 문자와 비교해 보니 형식,내용이 엇비슷합니다.

"지원 규모나 한도 같은 것에서…기관 부서도 너무 정확하게 나와 있고…(진짜라고 믿을 것 같아요.)"

일반 시민들도 구별하기 힘든데 상황이 어려운 사람이라면 세심히 살피지 못하고 수법에 걸려들 가능성이 큽니다.

"저희 같은 사람들은 금방 좀 빨리 받고 싶고…저같아도 전화를 해서 물어볼 것 같아요."

자영업자들이 모인 인터넷 카페에는 이런 글들에 대한 사실 문의가 쇄도하고 넘어갈 뻔 했다는 댓글들도 많이 달려있습니다.

사기가 기승을 부리자 금융당국은 코로나19 지원금 관련 사기 문자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정부 기관이나 제도권 금융회사는 문자나 전화를 통해 개인정보 제공 및 송금을 절대 요구하지 않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출처가 의심스러운 문자는 바로 삭제하고, 만약 피해를 입었다면 금감원이나 금융사 콜센터를 통해 신속히 지급 정지 등을 신청하라고 당부했습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chaletuno@yna.co.kr)

#스미싱 #보이스피싱 #문자사기 #자영업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