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현장] 푸틴, 우크라 내 군 진입 지시…긴장 최고조

  • 2년 전
[이슈현장] 푸틴, 우크라 내 군 진입 지시…긴장 최고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분쟁지역의 분리 독립을 승인하고 러시아 군 진입을 승인하면서, 우크라이나 침공이 초읽기에 들어간 게 아니냔 관측이 나옵니다.

미국은 즉각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나섰는데요.

전 러시아 대사 또 우크라이나 대사를 지낸 박노벽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초빙교수와 자세히 짚어봅니다. 어서 오세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늘 아침,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분리주의 공화국들에 러시아군 파견을 명령했습니다. '평화유지군' 명목인데요. 우선, 정확히 어떤 상황인 겁니까?

또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세력이 세운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는데요. 이건 어떤 의미입니까?

어제 이 시간에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이야기를 나눌 때만 해도 오늘이랑은 분위기가 좀 달랐거든요.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논의도 나왔고요. 그런데 푸틴 대통령이 갑자기 이 시점에 강경책을 내놓은 이유는 뭘까요?

그렇다면,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 실제로 진입하거나 전면전을 벌일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미국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 돈바스 지역의 분리독립을 승인한 것을 규탄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제재에 나섰습니다. 미국인의 신규 투자 및 무역, 금융을 금지하는 행동 명령을 발동했는데. 이건 어느 정도 수위의 제재로 볼 수 있습니까? 추가 제재도 나올까요?

영국과 프랑스 정부도 러시아의 결정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또 EU 차원의 제재를 논의하겠다고 했는데요. EU 차원의 제재, 어떤 수준이 될까요? 서방과 러시아간의 갈등이 한층 고조되는 모양인데, 앞으론 어떻게 흘러갈까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긴급회의를 열고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안보리 차원의 공식 대응 채택 가능할까요?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의 행동은 주권에 대한 침해"라면서 "우크라이나의 국경선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대통령의 지도력이 중요할 텐데, 우크라이나 내외에서 현재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어떻습니까?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오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 회의를 긴급 주재하고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는데요. 우크라이나 사태가 한반도에 끼칠 영향은 어떻게 보시고 또 우리는 어떤 대응을 준비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