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문가 내세워 "증거 없다"…코인 채굴 의혹 여전

  • 3년 전
비전문가 내세워 "증거 없다"…코인 채굴 의혹 여전

[앵커]

세관 공무원이 상황실에서 코인을 채굴했다는 의혹, 저희 연합뉴스TV가 단독 보도해드렸었는데요.

이 문제가 국정감사에서도 불거졌습니다.

관세청은 채굴이 없었다고 주장을 반복했지만, 이 외부 검증 역시 석연치 않아 끝까지 의혹 감추기에 급급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평택세관 소속 A 계장이 올 초 세관 상황실에서 코인 채굴을 했다는 내부 고발이 제기되자 당사자와 관세청은 적극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세관 전기요금이 이전과 비교해 유독 올해 1~3월 200만~300만 원씩 올라간 점에는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이 문제는 국정감사에서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그러자 관세청은 이 계장이 지인들에게 가상자산 채굴업체 투자를 알선하고 7,000만 원을 받아 감봉 3개월의 징계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세관 내 채굴 의혹은 부인했습니다. 자체 조사와 외부전문가 점검에서 특이점을 찾을 수 없었다는 겁니다.

그런데, 관세청 의뢰로 외부 검증을 했다는 업체 이야기는 다릅니다.

이 업체는 채굴을 하지 않는 가상자산거래소로, 자신들은 공식 답을 내놓기 어렵다고 검증 전부터 선을 그었고,

세관에 점검 나간 직원도 자금세탁 방지 전문가지, 채굴에는 전문성이 없다고 알렸단 겁니다.

"부실한 자체 검증으로 면죄부를 줄 순 없습니다. 철저한 재조사로 이 사건의 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청은 징계위원회 회의록도 제출하지 않고 있습니다.

"징계 회의록의 경우에는 외부 위원들 발언이 포함돼 있어서 지금까지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의혹 해소를 위해선 해명보다는 투명한 자료 제출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