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통제 적극 수용"…인권경찰 청사진 제시

  • 3년 전
"외부통제 적극 수용"…인권경찰 청사진 제시

[앵커]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올해부터 수사종결권 등을 행사하게 된 경찰이 인권수사를 강화하기 위한 자체 개혁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방안은 외부 통제를 적극 받아들이겠다는 데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조한대 기자입니다.

[기자]

'인권 경찰'로 거듭나겠다며 개혁 청사진을 내놓은 경찰.

개혁안의 핵심은 외부 인력을 투입해 혹시나 모를 권력 오·남용을 막겠다는데 있었습니다.

경찰은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 '개방형 인권정책관'이란 자리를 만들고, 전국 경찰서별로는 '청문감사 인권담당관'도 두기로 했습니다.

"개방형 인권정책관을 신설하고, 시민의 시각으로 경찰의 인권정책을 총괄하면서 인권침해 사건의 조사를 지휘하는 등 실질적인 내부 통제 체계를 갖추도록 하겠습니다."

또 전국 18개 시·도경찰청과 서울 지역 경찰서 2곳에 '현장인권상담센터'를 마련하고 법률·인권전문가를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경찰은 피해자를 보호하는 수사를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수사가 적법 절차에 따랐는지 인권을 보호했는지, 변호인을 통해 확인하는 '변호인 수사과정 모니터링제'를 도입할 방침입니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개혁안 발표 이후에 열린 지휘부 화상회의에서 일선 경찰서의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계획과 의지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현장의 실천입니다…정의의 실현과 실체적 진실 발견도 중요하지만 결코 인권을 뛰어넘는 가치일 수는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경찰의 변화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느냐의 문제일 겁니다.

개혁이 일성으로 끝날 게 아니라,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 (onepunch@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