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종군 위안부 아닌 위안부"…'국가 책임' 지우기

  • 3년 전
◀ 앵커 ▶

일본 정부가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 대신 그냥 '위안부'라고 쓰는 게 적절하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종군이라는 말을 삭제해서 일본군이 관여했다는 흔적을 없애려는 의도인데요.

위안부 동원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부정해온 일본 우익 세력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 한 겁니다.

도쿄에서 고현승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고노 담화]
"이른바 종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1993년 고노 담화에서 일본은 '종군 위안부'란 말을 쓰며 일본군의 강압적 모집을 인정하고 사죄했습니다.

[고노 요헤이/전 관방장관]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이송에 옛 일본군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여했습니다."

그런데 일본 각료회의는 '종군 위안부'가 아닌 그냥 '위안부'로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가토 가쓰노부 / 일본 관방장관]
"오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니 '종군 위안부' 또는 '이른바 종군 위안부'가 아닌 그냥 '위안부'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종군'이란 말을 삭제함으로써 일본군이 관여했다는 흔적을 없애려는 의도입니다.

## 광고 ##국가 책임을 부정해온 우익 세력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했습니다.

한국도 '종군 위안부'라고 쓰지 않지만 이유는 전혀 다릅니다.

'종군'이란 말이 군을 자발적으로 따라간 것이란 잘못된 인식을 줄 수 있어 빼고, 대신 일본군의 책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일본군 위안부'라고 쓰고 있습니다.

또 일본 정부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에 대해서도 '강제 연행', '강제 노동'이란 용어는 아예 쓰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역시 '강제성'을 희석하려는 조치입니다.

이같은 결정은 앞으로 교과서들에 적용됩니다.

이런데도 일본 정부는 여전히 고노 담화를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사실상 핵심 내용은 부정하면서 사과했다는 생색만 내려는 건 아닌지 우려됩니다.

도쿄에서 MBC뉴스 고현승입니다.

(영상취재 : 이장식, 김진호(도쿄) / 편집 : 김태우)

MBC 뉴스는 24시간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