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백신·경기부양 낙관…거품 우려도

  • 3년 전
◀ 앵커 ▶

전 세계에 영향을 주는 미국 증시가 올해는 코로나 백신이 보급되면서 일단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만, 한편에선 거품이 꺼질 거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인데요, 오늘 한번 전망해 보겠습니다.

중국 통신사들이 뉴욕 증시에서 퇴출되죠. 또 암호화폐 비트코인까지 짚어 보겠습니다.

실리콘밸리 특파원 출신 현지 언론인 연결됐습니다.

손재권 대표님, 안녕하세요.

◀ 손재권/더 밀크 대표 ▶

안녕하세요.

◀ 앵커 ▶

우리 코스피가 2020년을 사상 최대치로 마감했는데, 미국도 12월 마지막 거래일을 상승세로 끝냈죠?

새해 증시 전망은 어떤가요?

◀ 손재권/더 밀크 대표 ▶

지난해 2~3월 코로나 19가 미국에 본격 상륙한 뒤 속절없이 떨어지던 뉴욕증시는 대규모 부양책과 애플, 아마존 등 실리콘밸리 테크회사의 실적에 힘입어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2020년 연간으로는 나스닥 지수가 지난 2009년 이후 최대폭인 43.6%나 폭등했습니다.

다우와 S&P500 지수는 각각 7.3%, 16.3% 올랐습니다.

실제 지난 3∼4월 2조 달러가 넘는 막대한 재정부양안을 통과시킨 후 시중에 어마어마하게 유동성을 풀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기 때문입니다.

올해는 코로나 백신이 보급되기 때문에 대세 상승은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그러나 연간 한두 차례 10~20% 정도의 주가 조정이 올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자산 거품이 붕괴할 것이란 우려도 있어서 경기 반등 한쪽만 예측해서는 안 된다는 분석입니다.

◀ 앵커 ▶

뉴욕증시에서 중국의 통신사 3개가 퇴출된다는 소식, 지난주에 저희도 보도해 드렸는데요,

이게 다가 아니라 이제 시작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미국 증시에 상장돼 있는 중국 주식 갖고 있는 분들 주의 깊게 보고 있어야겠죠?

◀ 손재권/더 밀크 대표 ▶

그렇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는 내주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 등 중국 통신사업자 3개사의 주식 거래를 중단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해 11월 중국군 연계 기업에 대한 미국인의 투자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데 따른 조치입니다.

특히 차이나모바일은 지난 1997년 뉴욕증시에 처음 상장됐습니다.

중국의 대규모 국유기업 가운데 뉴욕증시에서 거래가 허용된 첫 회사였는데요.

당시 차이나모바일은 중국 기업이 미국 자본의 등을 업고 성장하는 모습의 상징과 같은 기업이었습니다.

하지만 24년이 지나 미국에서 퇴출되면서 냉전의 상징 기업이 됐습니다.

## 광고 ##중국은 미국의 이 같은 주식 거래 중단에 보복할 것을 예고했습니다.

뉴욕타임즈 등 미국 언론은 중국 통신사의 뉴욕증시 퇴출이 중국에 큰 타격을 주지 못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뉴욕이 아닌 상하이와 홍콩 증시에서 자금 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뉴욕증시에 거래되고 있는 중국 기업은 알리바바, 텐센트 등 217개입니다.

중국 기업 퇴출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중국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미중 갈등의 영향을 받아서 손해 볼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네, 주제를 바꿔서 암호화폐 비트코인 얘기인데요, 가격이 지난해 크게 올랐어요.

한국 금융당국은 암호화폐 투자를 하지 말라고 권하는데요.

실리콘밸리에서 보시기엔 어떻습니까?

◀ 손재권/더 밀크 대표 ▶

한때 투기 열풍이 불었던 비트코인이 지난 2일 사상 최고가인 3만 30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59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비트코인은 지난 2017년에도 최고치를 보이며 당시 2만 달러를 넘어섰다가 1년간 가격이 무려 90%나 폭락했습니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투자했다가 큰 손해를 본 분들이 많았습니다.

이후 4년 만에 다시 가격을 회복한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지난해 가격이 4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이는 미 달러화가 약세가 되면서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투자로 일부 돌아섰기 때문입니다.

미 월가의 대형 기관투자가들이 속속 비트코인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것도 비트코인 가격 상승세를 뒷받침했습니다.

페이팔 등 미국의 디지털 화폐 업체들이 비트코인 거래를 시작했고, 페이스북은 암호화폐인 디엠을 내년에 출시할 예정인데요.

이런 이유 때문에 폭등했다가 급락한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