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도 세계유산 취소 요구…日 "성실히 이행"

  • 4년 전
◀ 앵커 ▶

일본은 군함도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에 지정이 되면 희생자를 기리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약속을 했었죠.

그런데 최근에 문을 연 전시관에 가보니까 희생자를 기리기는 커녕 강제 징용 사실 조차 왜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우리 정부가 세계 문화 유산 지정 취소를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도쿄, 고현승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유네스코는 지난 2015년 일본의 하시마, 일명 군함도 등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

당시 한국 정부가 강제징용을 미화한다며 반대하자, 일본은 강제 징용 사실을 알리고 희생자를 기리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사토 쿠니/주유네스코 일본대사(2015년)]
"일본은 정보센터 설치 등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설명 전략에 포함시킬 준비가 돼있습니다."

그 조치로 만들어진 산업유산정보센터 지난 주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입구에 설립 과정을 소개해 놨는데, 끝 부분에 '강제 동원과 가혹한 강제 노역이 있었다'는 유네스코 일본 대사의 발언을 써놨습니다.

그런데 이게 전부입니다.

전시물 대부분은 메이지 산업혁명을 미화하는 내용이고, 군함도는 대표적인 근대 탄광 시설로만 소개돼있습니다.

오히려 강제징용이나 가혹한 노동은 없었다는 증언들만 잔뜩 모아놨습니다.

[가지 히데오/전 군함도 주민]
"창문 유리문 활짝 열어놨어요. 철조망이나 쇠창살은 전혀 없었어요."

이처럼 일본이 '꼼수'를 쓰며 약속을 지키지 않자, 우리 정부는 유네스코에 서한을 보내 세계문화유산 지정 취소를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의와 권고를 충실히 이행했다는 억지 주장을 오늘도 되풀이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관방장관]
"우리 정부가 약속한 조치를 포함해, 그런 것을 성실히 이행해왔고..."

## 광고 ##우리 정부에선 주한 일본 대사에 대한 초치와 취소 요청 서한을 보내는 것 외엔 아직 더 나올 대응책은 없습니다.

올해 유네스코 분담금은 한국 92억원, 일본은 347억원으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 만큼 유네스코의 취소 결정을 끌어내기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도쿄에서 MBC뉴스 고현승입니다.

(영상취재: 이장식 김진호(도쿄) / 편집: 이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