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민주진영, 보안법 반발…대규모시위 재점화하나

  • 4년 전
홍콩 민주진영, 보안법 반발…대규모시위 재점화하나

[앵커]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추진하자, 홍콩의 범민주진영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송환법 반대 시위 때처럼 대규모 시위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는데요.

홍콩보안법이 제정되면 민주화 시위에 대한 탄압과 민주진영 인사의 선거참여가 봉쇄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

김영만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직접 제정하는 초강수를 두자 홍콩에서 지난해 송환법 반대 시위와 같은 대규모 시위가 다시 불붙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공개한 홍콩보안법 초안에는 국가를 분열시키거나 국가 정권을 전복하고, 테러 조직을 결성해 활동하는 행위 등을 강력하게 처벌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 법을 빌미로 홍콩 시민사회단체의 시위와 집회를 탄압하고 반중국 성향 민주 진영의 선거 참여를 봉쇄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홍콩 범민주진영의 지적입니다.

홍콩보안법이 중국의 의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가결되면 이르면 다음 달 효력을 갖게 됩니다.

중국 당국의 입법 강행 선언이 전해지자 홍콩 야당과 시민단체는 "일국양제의 죽음"이라고 거세게 반발하면서 홍콩 시내에서 반대 시위를 벌이며 경찰과 대치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홍콩법에 의한 통치 원칙은 끝났습니다."

홍콩 의회인 입법회의 회의장에서는 친중파와 반중파 의원들간 심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특히 다음 달은 지난해 6월 시작된 송환법 반대 시위 1주년을 맞는 시기여서 홍콩보안법 사태와 맞물려 대규모 시위가 벌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집니다.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추진에 대해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도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유럽연합은 규탄 성명을 내고 홍콩의 자치권 유지를 촉구했으며, 영국과 호주·캐나다도 홍콩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내용의 성명을 냈습니다.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