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들아" 노모의 40년 恨…내일 5·18 40주년 기념식

  • 4년 전
"내 아들아" 노모의 40년 恨…내일 5·18 40주년 기념식
[뉴스리뷰]

[앵커]

내일(18일)은 5·18 민주화운동 제40주년입니다.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국립 5·18민주묘지에서는 추모제가 열려 오월 영령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유가족은 물론 시민과 시민단체 등 추모의 발길도 온종일 이어졌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40년의 세월이 흘러 다시 찾아온 오월.

노모는 하루 일찍 아들의 묘소를 찾았습니다.

아들의 빛바랜 사진을 어루만지며 끝내 오열했습니다.

"재철아, 그래. 이 세상에서 못 해본 거저 하늘나라에서 다 해봐라. 내 아들, 불쌍한 내 아들."

5·18 최초 희생자 고 김경철 열사.

노모에게는 그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가족을 잃은 5월 광주의 상처는 아직 치유되지 않았습니다.

"아무리 불러봐도 대답이 없는 우리 아들. 아무리 보고 싶어도 꿈에도 안 보이는 우리 아들… 아들아, 경철아. 곤봉에 맞아서… 불쌍해서 어떡하냐."

5·18 민주화운동을 40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에는 80년 5월을 기억하기 위한 시민과 시민단체들의 발길이 온종일 이어졌습니다.

오월 영령의 넋을 위로하고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5·18 민중항쟁' 제40주년 추모제도 엄수됐습니다.

유가족과 정치인, 각계 인사들은 한 마음으로 5·18에 대한 온전한 진상규명을 소망했습니다.

"다시는 아픈 역사를 왜곡하고 비틀어서 자신들의 정치적 이득을 위해 악용하는 상황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우리 역사와 대한민국의 정의를 바로 세우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제40주년 기념식은 18일 오전 10시 옛 전남도청 앞 5·18 민주광장에서 거행됩니다.

옛 전남도청은 시민군의 최후 항쟁지이자,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집단 발포했던 비극적 역사의 현장입니다.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를 주제로 거행되는 기념식에는 유가족과 각계 인사 등 400여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ki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