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추모 발길 이어져

  • 4년 전
내일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추모 발길 이어져

[앵커]

내일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입니다.

기념식을 하루 앞두고 오월 영령이 잠든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경인 기자.

[기자]

네, 국립 5·18 민주묘지에 나와 있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묘지에는 1980년 5월 당시 민주화를 위해 헌신하다 산화한 오월 영령 등 5·18 유공자 857분이 잠들어 계십니다.

이곳에서는 오늘 오전 5·18 유족회 주관으로 제40주년 추모제가 1, 2부로 나눠 진행됐습니다.

1부에서는 5월 가족들이 제례를 올리며 오월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2부에서는 이용섭 광주시장과 지역 국회의원 및 당선인, 민주당 김부겸 의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등이 참석해 민주 영령들의 뜻을 기렸습니다.

김양훈 5·18 유족회장은 "40주년을 맞아 5·18 진상이 규명되기를 바란다"며 "5·18과 같은 비극이 재현되지 않도록, 우리 역사와 대한민국의 정의를 바로 세우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추모식이 끝난 뒤 유가족들은 먼저 떠난 가족들의 묘비를 둘러보며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또 이곳에는 추모의 발길이 이어지고 잇습니다.

미래통합당 유승민 의원 등이 묘지를 참배했고, 오월을 기억하기 위한 일반 시민들의 참배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편, 묘지 입구에서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발열 체크와 방명록 작성 등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앵커]

김 기자, 내일 제40주년 기념식이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진행된다면서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내일 5·18 제40주년 기념식은 옛 전남도청 앞 5·18 민주광장에서 거행됩니다.

5·18이 1997년 국가 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처음인데요.

옛 전남도청은 시민군들의 '최후 항쟁지'로, 시민군을 향한 계엄군들의 집단 발포가 있었던 역사적 현장입니다.

보훈처는 "40주년을 맞아 특별함을 더하기 위해 항쟁의 현장을 기념식 장소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기념식에는 5·18 유공자 및 유족 등 400명이 참석할 예정인데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참석 인원을 제한했습니다.

주제는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로, 5·18의 상징곡인 '님을 위한 행진곡' 가사에서 빌려 왔습니다.

기념식은 오프닝 영상, 국민의례, 경과보고 등으로 시작해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으로 마무리됩니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5월 단체 대표가 하던 경과보고를 유가족인 대학생 두 명이 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