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에 합동분향소 운영…추모객 발길 이어져

  • 2년 전
서울광장에 합동분향소 운영…추모객 발길 이어져

[앵커]

이태원 압사 참사로 30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애도와 추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울광장과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 등에는 이들을 추모하기 위한 합동분향소가 마련됐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나경렬 기자.

[기자]

네, 저는 합동분향소가 설치된 서울광장에 나와 있습니다.

밤사이 마련된 분향소에는 국화꽃이 놓여 있고, 서울시도 조기를 게양하며 안타까운 죽음을 추모하고 있습니다.

서울광장 조문은 10시부터 시작됐는데, 이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가장 먼저 이곳을 찾아 조문했습니다.

여야 지도부도 헌화하고 묵념하며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시민들의 조문 행렬 또한 이어지고 있는데요.

한 시민은 절을 하다 무릎을 꿇고 오열하기도 했습니다.

안타까운 마음으로 조문을 마친 시민 목소리 직접 들어보시죠.

"세상에 태어나서 피어보지도 못하고 억울하게 간 사람들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착잡합니다."

합동분향소는 이곳뿐 아니라 참사가 발생한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도 마련됐습니다.

정부는 전국 17개 시도에 분향소를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참사 현장과 이태원역 1번 출구에도 시민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밤사이 현장을 찾은 추모객들은 국화꽃과 추모 글귀로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정부는 이제, 사고 수습 대책과 피해자 지원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정부는 우선, 사망자 장례비 최대 1,500만원과 이송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부상자에 대해선, 건강보험 재정으로 치료비를 우선 대납하기로 했습니다.

사상자들은 세금과 통신 요금 등을 감면받거나 납부를 유예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SNS 상에서 여과 없이 퍼져나간 사고 영상, 사상자들을 조롱하거나 혐오하는 댓글을 언급하며, "절대 자제"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정부가 다음달 5일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정한 만큼, 희생자를 존중하고 이들에 대한 위로와 추모를 함께 하자는 겁니다.

이곳 서울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 오늘만 10시부터 운영되고, 내일부터는 아침 8시부터 밤 10시까지 조문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서울광장 합동분향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태원참사 #합동분향소 #사고수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