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작성 문서 입수…"'구색 맞추기' 의견 수렴"

  • 4년 전
◀ 앵커 ▶

정대협 전 대표인 윤미향 당선인을 둘러싼 또 다른 논란은 지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을 사전에 알았는지 여부입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가 작성한 피해 단체 접촉 일지를 MBC가 입수해 분석해봤습니다.

나세웅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2017년 외교부가 정리한 '위안부' 피해자 의견 수렴 일지입니다.

2015년 한해, 외교부가 접촉한 '위안부' 단체와 날짜, 주요 논의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위안부' 합의 발표 닷새 전인 12월 23일 나눔의집을 방문해서, "시설 개관식 참석 계기로 단체 측 의견을 청취"했다고 썼습니다.

설 명절 인사나 국회의원을 '모시고' 행사에 온 도 것도 "의견 교환"과 "요망사항 청취"로 적었습니다.

이 문건에 따르면 정대협과는 두 차례 접촉했습니다.

그해 2월 정대협 쉼터를 방문해 올해가 가기 전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의견을 청취했고, 10월 말 올바른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요구서를 전달 받았다고 돼 있습니다.

윤미향 정대협 전 대표는 합의 발표 하루 전인 12월 27일 밤, 일본 언론을 통해 이미 알려진 합의안 일부만을 전달 받았다고 했습니다.

[윤미향/12일 MBC '뉴스외전']
"소녀상 철거도 들은 적이 없고요.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것도 들은 적이 없습니다."
(들으신 게 전혀 없고요?)
"네"

당시 외교부가 접촉했던 다른 위안부 할머니 지원 단체 역시 의견수렴은 '구색 갖추기'였을 뿐, 합의 내용은 발표 당일 들었다고 했습니다.

외교부 TF는 이미 2017년 "당시 외교부가 최종적·불가역적 해결 등 한국 쪽이 취해야 할 조치에 관해 피해자 단체에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런데도 최근 전직 외교관들은 일부 언론을 통해 "윤미향 대표에 합의 내용을 사전에 설명했다"거나 "윤 대표가 괜찮다는 반응을 보였다"는 등의 발언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MBC뉴스 나세웅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