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연결] 국내 신종코로나 현황·확진자 역학조사 결과 브리핑

  • 4년 전
[현장연결] 국내 신종코로나 현황·확진자 역학조사 결과 브리핑

질병관리본부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현황과 역학조사 결과 등을 설명합니다.

현장 연결하겠습니다.

[정은경 /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금일 9시 현재 전일 대비 추가 3명이 추가된 확진환자를 확인하였습니다.

신규로 확인된 환자의 정보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3번째 환자는 28세 남자 한국인으로 1월 31일 우한시로부터 임시 항공편으로 1차 귀국한 입국 교민 368명 중 1명입니다. 1차 입국하신 교민에 대한 전수검사 과정에서 1명이 양성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이 환자분은 현재 국립중앙의료원에 격리조치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환자분은 입국 당시에는 증상이 없으셨고 어제 아침에 약간의 기침 증상이 있었고 현재는 병원에 입원해서 여러 가지 검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세부 정보가 나오면 추가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 외에 입국시에 증상을 호소했던 18명을 포함해서 나머지 1차 입국하신 교민 367명은 모두 음성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2월 1일 임시항공편으로 귀국하신 2차 입국 교민도 전수 진단검사를 현재 진행 중입니다. 우선 시행된 유증상자 8명에 대한 검사 결과는 모두 음성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14번째 환자는 40세 여자 중국인으로서 12번째 환자의 가족으로 자가격리 중이었으며 현재 역학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15번째 환자는 43세 한국인으로서 1월 20일 우한시에서 입국하였으며 당시 네 번째 환자와 같은 비행기를 탑승하여 관리 중이던 대상자로 2월 1일부터 호흡기 증상을 호소해 실시한 검사 결과 확진되었습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까지 진행된 여덟 번째, 열두 번째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경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덟 번째 확진자의 접촉자는 현재까지 67명입니다. 조사하는 과정 중에 3명이 유증상자로 확인이 되었으며 2명은 음성, 1명은 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나머지 접촉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 등 조치 중입니다.

여덟 번째 환자는 일곱 번째 환자와 우한시에서 원래 알고 지냈던 사이로 귀국시 같은 비행기 옆좌석에 앉았던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항공기 승객 및 승무원들 접촉자에 대한 조사는 완료되어 조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환자는 증상 발현 이후에 의료기관, 음식점, 대중목욕탕, 대형백화점을 방문하였고 이에 대한 환경소독은 지자체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12번째 확진자의 접촉자의 현재까지 138명이 확인되었고 이 중 가족 1명이 확진되어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 중이며 나머지 접촉자는 자가격리 등 조치가 진행 중입니다. 환자는 증상 발현 이후에 의료기관, 음식점, KTX, 극장 등을 이용하였으며 방문한 장소 및 접촉자에 대해서는 추가 조치를 지자체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2월 2일 오전 9시 현재 총 429명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하여 15명이 확진되었고 327명은 검사 음성으로 격리해제, 87명은 현재 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확진환자들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입니다. 접촉자 683명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진행 중이며 이 중 5명이 확진환자로 확진된 바가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근 14일 이내에 중국을 여행하신 경우는 가급적 외부활동을 자제하시고 손 씻기 및 기침 예절을 준수하는 한편 발열,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선별진료소가 있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시거나 1339 콜센터 또는 관할지역 보건소에 상담해 주실 것을 부탁을 드립니다. 일반 국민들께서도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 등 일상생활에서의 감염병 예방수칙을 꼭 지켜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이상입니다.

(1페이지에 저희 표기가 잘못된 게 있어서 정정 말씀드립니다. 1페이지에 2차 입국 교민 중의 유증상자가 8명이 아니라 7명입니다.)

[기자]

8번 환자 보면 중국에서부터 증상이 발생을 했었는데 들어와서 대중목욕탕이라든가 다른 대형마트라든가 이런 곳들을 이용한 것으로 나오는데 8번, 12번 같은 경우가 접촉자가 좀 많은데 이 중에서 밀접접촉자가 몇 명이고 이 사람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그리고 기존에 증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방역이 지금 제대로 안 됐는지 궁금합니다.

[정은경 / 중앙방역대책본부장]

8번 환자는 어저께 보고드린 것처럼 1차 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와서 격리가 해제된 상태였고요. 그래서 그 상황에서 지역사회 노출이 조금 증가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지역사회 접촉자에 대해서는 현재 지자체랑 같이 파악을 해서 밀접접촉자는 자가격리 조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11번의 경우에는 이분은 국적이 중국인이시고 또 입국을 중국에서 하신 게 아니라 일본에서 입국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본인도 또 저희도 그분에 대한 거를 입국자로 관리되고 있지 않은 대상이었습니다. 그리고 11번 같은 경우는 말씀드린 것처럼 일본에서 확진되신 분하고 접촉이 있었다라는 그런 통지를 받고 그리고 검사를 하는 과정 중에 진단이 된 사례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초기에는 발열이나 기침이나 이런 일반적인 감기나 인플루엔자랑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본인들이 그런 노출력이 명확하게 있지 않으면 조기부터 이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의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을 거라고 보입니다.

[기자]

1차 입국자 중에서 음성판정을 받은 분들이 자가격리가 되고 있는데요. 이분들은 음성판정을 받았기 때문에 100% 안전하다고 봐도 되는지 아니면 잠복기, 8번 환자처럼 잠복기 상태일 수도 있다고 봐도 되는 건지 하나 여쭙고 두 번째로는 15번 환자 같은 경우는 같은 비행기를 탔다고 하는데 이게 옆자리를 앉았다는 건지 아니면 그냥 같은 비행기를 탔다는 건지 여쭙겠습니다.

[정은경 /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입국하신 교민들께서는 지금 1인실에서 격리가 되고 또 그 시설 담당하는 그런 공무원들이 시설에 대한 관리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희가 혹시, 이런 일본에도 유사하게 3대의 비행기로 나누어서 566명이 일본 교민들도 귀국을 하셨습니다. 일본인 경우에도 확진환자가 3...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