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갈림길에 선 한반도…김정은의 선택은

  • 4년 전
비핵화 갈림길에 선 한반도…김정은의 선택은

[앵커]

끝이 보이지 않는 북미 비핵화 샅바싸움에 한반도 정세가 또다시 중대기로에 섰습니다.

북한이 당 전원회의에서 투쟁 노선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다가올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하노이 회담은 비핵화 대화 분위기를 송두리째 흔들었습니다.

북한의 불만은 거셌습니다.

"명백히 하건대 지금과 같은 미국의 강도적 입장은 사태를 분명 위험하게 만들겁니다."

판문점 극적 회동으로 돌파구가 열리는 듯 했지만,

"나는 김정은 위원장과 아주 만족스러운 회담을 했습니다. 우리는 각자 실무팀을 구성한 뒤 세부적인 사안을 논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석 달 만에 마주앉은 북미는 성과 없이 빈손으로 돌아섰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유연한 접근과 새로운 방법, 창발적인 해결책을 시사하며 기대감을 한껏 부풀게 했으나 아무것도 들고 나오지 않았으며…"

비핵화 큰 그림에 대한 합의조차 이루지 못한 채, 연말 대화 시한까지 속수무책 시간만 흐르고 있는 상황.

북한이 지금까지의 대화기조를 접고 다시 강경노선으로의 회귀를 천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앞서 열린 당 전원회의에서 투쟁 방향을 구체화시키고, 다가올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로 이를 공개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김 위원장은 매년 육성 신년사를 국가의 통치방향과 대미, 대남 메시지 발표의 창구로 삼았습니다.

"조선반도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한반도 비핵화가 중대기로에 선 가운데, 김 위원장의 입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