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목숨이 협상 카드냐?"…부모들 거센 항의

  • 5년 전
◀ 앵커 ▶

민식이, 하준이, 태호 유찬이, 해인이.

사고로 숨진 아이들 이름을 딴 어린이 안전법안을 통과시켜달라며 부모들은 어제도 국회를 찾았습니다.

그런데 국회 파행으로 법 통과가 무산되자 "아이들 목숨을 협상카드로 쓰지 말라"며 오열했습니다.

이동경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어김없이 국회를 찾은 사고 아이들의 부모들.

"오늘 잘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민식이법, 하준이법까지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민식이법과 하준이법이 본회의 전 마지막 관문 법사위를 통과하자,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비로소 안도의 눈물을 흘립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본회의 시작이 1시간도 남지 않은 시각, 한국당이 갑자기 패스트트랙 법안을 막기 위해 필리버스터를 신청한다고 밝히면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오늘 본회의에) 상정된 모든 법안에 필리버스터를 신청하였습니다."

오랜 기다림이 물거품이 된 부모들은 자리에 주저앉아 오열했습니다.

한국당은 다만 선거법을 상정하지 않는 조건이라면, 민식이법은 통과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부모들은 이젠 아이들 목숨을 협상카드로 삼겠다는 것이냐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박초희/민식이 엄마]
"왜 떠나간 우리 아이들이 협상카드로 쓰여야 되는지…불러주고 싶어도 마음 아파 불러줄 수 없는 우리 아이들, 당신들 그렇게 얘기하면 안 됐습니다."

[김장회/태호 아빠]
"진짜 너무하시는 거 같습니다. 진짜 이게 대한민국 정치 현실이라니까, 정말 이 나라가 진짜 싫습니다."

비난 여론이 커지자 한국당은 "민식이법 등 일부 민생법안은 필리버스터 대상이 아니었다"며 "법안 처리를 무산시킨 책임은 본회의를 열지 않은 국회의장과 민주당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해 사립유치원 비리 사태를 계기로 발의된 유치원 3법 역시 337일을 기다린 본회의 표결이 무산됐습니다.

관련 시민단체들은 “만약 올해 정기국회에서 유치원법이 통과되지 않으면 반대한 의원들에 대해 내년 총선에서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이동경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