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참시] "박찬주, 우리공화당으로 모십니다~" / '정쟁 수석' 때문에… 더 꼬인 국회?

  • 5년 전
◀ 앵커 ▶

정치적 참견시점, 오늘도 정치팀 박영회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첫 번째 소식, 보겠습니다.

"박찬주, 우리공화당으로 모십니다~"

박찬주 전 대장, 한국당이 아니라 우리공화당이 공개적으로 영입 의사를 밝혔어요.

◀ 기자 ▶

네, 어제 기자회견 이후 한국당 영입이 속도를 내긴커녕, 오히려 더 어려워졌죠.

이 틈을 타서 우리공화당 홍문종 공동대표가 깜짝발표를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홍문종/우리공화당 공동대표]
"저희와 뜻이 같았습니다. 이 좌빨들에 대한 준동에 대한 그런 걱정을 같이 했었고요. 그런데 요즘 한국당에서 박찬주 대장한테 하는 거 보니까 제가 화가 나서 견딜 수가 없어요. 그래서 전화를 드렸어요 우리공화당으로 오십시오. 이렇게 말씀을 드렸고. 드디어 오늘 우리와 하겠습니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조만간에 박찬주 대장과 함께 나와서 신고하겠습니다."

◀ 앵커 ▶

함께 한다고 했다는데 해프닝으로 끝난다구요?

◀ 기자 ▶

네, 박 전 대장은 MBC와 통화에서, "우리공화당은 마음의 고향 같은 곳이고, 홍문종 대표와도 덕담을 나눴지만, 한국당과 함께 한다는 뜻은 변함이 없다"고 했습니다.

어제 기자회견 때도 비슷한 입장이었는데, 들어보시죠.

[박찬주/전 육군 대장]
"당이 나를 필요로 해서 쓰겠다면 정말 제가 물불을 가리지 않고 제 역할을 하겠다는 겁니다. 저는 어디든지 험지에 가서 한석을 차지하면 그게 자유한국당에 도움되는 거 아닌가요?"
(혹시 공화당으로 출마하실 가능성도 있나요?)
"아, 잘 모르겠습니다. 생각을 안 해봐서…"

박찬주 전 대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씨와 육사동기고, 또, 정권이 바뀌자 억울하게 적폐로 몰렸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만 바라보는 우리공화당이 탐내는 인재일 법한데, 일단 1차 시도는 실패했습니다.

한국당행이 최종 무산될 경우, 박 전 대장이 이 마음의 고향으로 향할지 관전포인트입니다.

◀ 앵커 ▶

다음 소식 보죠.

'정쟁 수석' 때문에… 더 꼬인 국회?

국회에서 고함을 친 강기정 정무 수석을 두고 야당이 '정쟁 수석'이다, 이렇게 비꼬고 있어요.

◀ 기자 ▶

네, 국회와 소통을 맡은 정무수석이, 정반대로 국회와 싸움만 했다는 건데, 문제가 된 국정감사 상황부터 다시 보시죠.

[나경원/자유한국당 의원]
"우리 안보가 더 튼튼해졌다고 보시는 겁니까, 문재인 정권 들어서서?"
(그렇습니다.)
"어거지로 우기지 마십시오…"
(우리 안보가 불안하다고 말씀을 드려야 되겠습니까?)
"우기시지 말고…"

[강기정/청와대 정무수석]
"아니, 표현을 그렇게 써… 아니, 답변을 요구해도 우기다가 뭐예요!"
(강기정 수석!)
"우기다가 뭐예요, 우기다가! 내가 증인이야! 우기다가 뭐예요, 우기다가! 똑바로 하세요!"

국감은 잠시 파행됐다, 강기정 수석이 유감을 표한 뒤, 재개됐습니다.

◀ 앵커 ▶

이게 지난주 금요일 밤이었는데 주말 지나서도 계속 논란이거든요.

◀ 기자 ▶

네, 한국당은 "묵과할 수 없는 만행이다. 청와대가 사과해야 한다", 바른미래당도 "국회에서 버럭질한 정쟁수석을 즉각 해임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늘 예산심사에서도 강기정 수석이 나와 사과해라, 설전이 오갔습니다.

들어보시죠.

[장제원/자유한국당 의원]
"패륜적 행동을 한 강기정 수석이 나와야 합니다. 야당을 증오하고 저주하는 그 속마음을 들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해철/더불어민주당 의원]
"강기정 수석 운영위 건은 운영위에서 정리가 된 겁니다. 그걸 지금 와서 다시…"

( 정무수석 공세에, 여당 항의하자… )

[박덕흠/자유한국당 의원]
"질의 하면 좀 가만히들 좀 계세요. 아참 내!"
(발언 좀 경청하세요!)
(조용히 하세요!)
"조용히 하세요. 조용히! 듣기 싫으면 나가시면 되고!"
(왜 반말하십니까! 반말하지 마세요!)
"아니, 나가시면 된다고요!"

설전 뒤에 예산심사는 진행됐지만, 최대 현안인 선거법과 공수처법, 경제 관련 민생법안 등 여야 협상은 모두 멈췄습니다.

불과 한 달 닷새 남은 20대 마지막 정기국회, 정말 끝까지 순탄치 않아보입니다.

◀ 앵커 ▶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박영회 기자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