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상금' 걸린 정당 현수막…"왜 우리 당 것만 떼"

  • 5년 전

◀ 앵커 ▶

길거리에 걸린 정당이나 정치인들의 현수막, 지정된 장소가 아니라면 불법인 경우도 적지 않죠.

전에는 불법이라도 그냥 두곤 했었는데, 요즘은 여야 구분 없이 거의 대부분 철거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각 정당마다 울상이라는데요.

서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생활불편신고앱으로 불법 현수막 고발이 접수됐습니다.

여당의 지역위원장이 고 노무현 대통령을 추모하며 6차선 도로변에 내건 현수막입니다.

유료인 지정 게시대에 걸지 않은 현수막은 원래 불법.

정당이나 정치인 현수막은 불법이라도 눈 감아주는 게 관행이었지만, 신고가 들어온 이상 철거할 수 밖에 없습니다.

[불법 현수막 철거 담당]
"신고 앱으로 들어오게 되면 그 현수막 같은 경우에는 자체가 불법이기 때문에 떼게 돼 있습니다."

불법현수막을 철거해서 직접 가져오는 시민도 있습니다.

개당 500원에서 2천 원 하는 포상금을 받기 위해서입니다.

[00주민자치센터 관계자]
"주로 (철거에) 참여하시는 분들께서는 어르신들, 소일거리 삼아서…젊으신 분들은 참여가 그렇게 뭐…간혹 한 두 명 있을지는 몰라도…"

최근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 모집을 위해 울산에만 현수막 50개를 달았지만 일주일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자유한국당은 패스트트랙을 비판하는 현수막을 내걸었는데 고작 8시간 붙어 있었고, 정의당이 5·18 망언을 한 자유한국당 의원 제명을 요구하며 내건 현수막은 반나절도 못 돼 사라졌습니다.

며칠 전까지 정당을 홍보하는 현수막이 부착된 곳입니다.

지금은 현수막이 사라진 채 이처럼 현수막에 부착된 노끈만 남아 있습니다.

민주당과 진보 정당들은 노인들이 주로 자기네 현수막을 떼어 간다며, 포상금 때문인지, 다른 정당을 지지해서인지 모르지만, 속상하다고 말합니다.

[정의당 관계자]
"노인분들한테 불법 현수막을 떼어가면, 이걸 철거해서 가면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정 정도의 비용을 드리기 때문에."

자유한국당은 야당이라 서럽다고 말합니다.

여당 자치단체장이 취임한 이후, 유독 자기네 현수막만 떼어간다는 주장입니다.

[자유한국당 관계자]
"(예전에는 현수막이) 한 2~3일은 갔는데 지금은 만 하루가 안 가니까,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좀 심하다는 생각을 하죠."

눈에 잘 띄는 길거리에 돈을 내지 않고 내걸었던 정치 현수막들이 달라진 환경에서 된서리를 맞고 있습니다.

MBC뉴스 서하경입니다.

(영상취재: 김능완(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