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2+2 협의, 아무리 그래도 출국 직전에 이메일로 통보한 건 너무하다 싶죠. 

그래서 취소하면서 미국에서 보낸 이메일에 뭐라고 적혀 있었는지 워싱턴 최주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미 2+2 통상 협의를 앞두고 미국 측의 취소 통보는 '이메일'을 통해 이뤄졌습니다.

메일 내용을 확인한 결과, 미국 측은 "일정이 충돌했다"며 "협상 일정을 재조정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완곡한 사과와 함께 "조만간 꼭 만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하자"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현지시간 25일 예정된 우리 정부와 2+2 협상 시간에 다른 일정이 있어서 만날 수 없다고만 밝힐 뿐 가장 중요한 '취소의 이유'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발신자도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아닌 장관 비서실 관계자로 돼 있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베선트의 자세한 일정까지는 전달 받지 못했다"며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 정부 관계자는 채널A에 "외교상 변수는 있지만 상호 관세 합의를 해야 하는 매우 중대한 시기에 메일로 갑작스럽게 통보 받은 것은 이례적이고 아쉬운 것이 사실"이라며 "빨리 다시 일정을 잡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정부가 한국에도 일본과 유사한 수천억 달러의 대미 투자 기금 조성과 자동차 포함 15% 관세 설정 구조를 제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현지에서는 관세 유예 마감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한국이 극심한 압박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영상편집: 김민정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2 플러스 2 협의 아무리 그래도 출국 직전에 이메일로 취소 통보한 건 너무하다 싶죠.
00:06그래서 취소하면서 미국에서 보낸 이메일에 뭐라고 적혀 있었는지 워싱턴 최주현 특파원이 취재를 왔습니다.
00:16한미 2 플러스 2 통상협의를 앞두고 미국 측의 취소 통보는 이메일을 통해 이뤄졌습니다.
00:23메일 내용을 확인한 결과 미국 측은 일정이 충돌했다며 협상 일정을 재조정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00:31이어 완곡한 사과와 함께 조만간 꼭 만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하자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00:38현지시간 25일 예정된 우리 정부와 2 플러스 2 협상 시간에 다른 일정이 있어서 만날 수 없다고만 밝힐 뿐 가장 중요한 취소의 이유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00:50발신자도 스코페센트 재무장관이 아닌 장관 비서실 관계자로 돼 있었습니다.
00:57정부 관계자는 베선티의 자세한 일정까지는 전달받지 못했다며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01:04한 정부 관계자는 채널A에 외교상 변수는 있지만 상호관세 합의를 해야 하는 매우 중대한 시기에
01:11메일로 갑작스럽게 통보받은 것은 이례적이고 아쉬운 것이 사실이라며 빨리 다시 일정을 잡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습니다.
01:20이런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정부가 한국에도 일본과 유사한 수천억 달러의 대미투자 기금 조성과
01:29자동차 포함 15% 관세 설정 구조를 제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01:36미국 현지에서는 관세 유예 마감기한이 임박한 가운데 한국이 극심한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01:43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01:50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