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16.


서울시, 지역화폐 상품권 가맹점 48만 개로 확대
서울 전역 가맹점 외 '공공배달앱' 등 사용 가능
'1인당 15만 원' 소비쿠폰, 신생아도 대상?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국국토정보공사
00:30제가 아까 유용한 정보가 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00:46온 국민이 받게 되는 이 소비 쿠폰 신청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00:51이 시점에서 근데 서울시가 이른바 소비 쿠폰 사용 꿀팁을 공개했습니다.
00:58먼저 서울사랑상품권으로 받는 것부터가 시작이라고 하는데 어떤 꿀팁입니까?
01:05일단 서울사랑상품권으로 발급을 받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곳이 꽤 많습니다.
01:11이번에 소비 쿠폰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01:15서울시가 서울사랑상품권 사용 가맹점수를 기존에 24만 곳에서 48만 곳까지 2배로 확대를 합니다.
01:24그래서 사실상 거의 서울 지역 안에 있는 거의 소상공인 모든 매장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고요.
01:31이게 이제 소상공인들한테도 좀 장점인 거는 결제 수수료가 없어요.
01:36그러니까 별도로 소상공인들이 이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만약에 받게 되면
01:39결제 수수료 없이 그대로 다 매출로 잡힐 수 있는 것 같고
01:43그 장점이 있고 여기 이제 어떻게 보면 꿀팁이라고 볼 수 있는데
01:46배달 음식 많이 시켜드시잖아요.
01:48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배달 앱이 있습니다.
01:51이게 땡겨요.
01:52네, 아시네요.
01:53거기에서 이제 일종의 프로모션을 하는 게
01:562만 원 이상 주문을 하시고 그걸 3회 주문을 하시게 되면
02:00만 원을 또 돌려줍니다.
02:03잠시만요.
02:03그러면 15만 원 쿠폰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만 원이 더 플러스가 된다는 말이시군요.
02:09네, 그렇죠.
02:10그게 상당히 좋은 정책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는 저는 보여요.
02:14요즘 워낙 배달 많이 시켜드시는데
02:15그 외에도 이제 뭐 기타 할인이나 소득공제도 받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02:21여러모로 서울사는 상품권으로 서울에 거주하신다면
02:23이용해 보시는 것도 고려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02:26중요한 건 이겁니다.
02:27이 소비 쿠폰을 받는 방법이 여러 가지예요.
02:30신용카드나 체크카드에 충전을 해서 받는 법.
02:34그런데 이거는 그 카드를 쓸 때마다 카드사가 수수료를 챙기게 되고요.
02:37아까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02:39서울시에서 발급하는 서울사랑 상품권으로 이 쿠폰을 받으면
02:43업주들은 수수료 없이 다 매출을 쓸 수 있고
02:48또 사용하는 우리 국민들은 사용을 2만 원 이상 3회 주문을 하면
02:541만 원이 또 돌려받으시니까.
02:56알겠습니다.
02:56저는 이거 꼭 해봐야 되겠습니다.
02:58저 되게 기다리고 있거든요.
02:59안 그래도.
03:01그런데 소비 쿠폰과 관련해서 시간이 가까울수록
03:05점점 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고 더 쌓이고 있습니다.
03:10또 하나 궁금증.
03:11이게 아직 태어나지 않은 뱃속의 아이도 소비 쿠폰 한 사람분으로 받을 수 있다면서요.
03:20그렇습니다.
03:21기준일이 6월 18일입니다.
03:236월 18일 이후에 출생하는 신생아의 경우에도 출생신고를 마치고
03:29이의신청을 하시게 되면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03:33다만 여기에는 소비 쿠폰 신청 기한 9월 12일 전에 출생신고를 마치셔야 됩니다.
03:40지금 아마 복중에 있는 아이들도 그러니까 지급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얘기죠.
03:46그 외에 군인들도 있잖아요.
03:48군인들의 경우에는 일반 국민의 동일한 신청 방식 외에도 편의성을 높인 절차를 마련했어요.
03:54예를 들어서 군인들은 봉급을 나라사랑카드라는 것에 연결되어 있는 계좌로 받게 됩니다.
04:00그래서 보통은 군대 안에서 예를 들면 PX 같은 데서 나라사랑카드를 많이 이용하는데
04:04이 소비 쿠폰도 PX를 이용할 때는 나라사랑카드로 나라사랑카드로 신청을 받게 되면 PX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04:12이런 점들도 있고요.
04:14요양병원이나 시설에 입소하고 계신 분들은 직접 신청이 어려운 분들도 많이 있지 않습니까?
04:20이런 분들이 대리신청도 가능하고 혹은 각 지자체에서 직접 찾아가서 신청을 대신해 주는 이런 서비스도 시행될 예정입니다.
04:28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