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5.


[앵커]
소비쿠폰, 본격적인 여름휴가 전에 지급하기 위해 신속히 진행하기로 했는데요.

얼마를 어떻게 받고 어디서 쓰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

자세한 내용 정책사회부 김승희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1. 먼저 내가 얼마를 받는지가 가장 궁금할 것 같아요?

네, 전 국민이 인당 최소 15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차상위계층이나 한부모가족인 경우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인 경우 40만 원부터 시작하는데요. 

이 기준에서 비수도권은 3만 원, 인구감소지역은 5만 원을 추가로 받습니다.

2차 지급은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들에게 일괄적으로 10만 원을 지급하는데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하되, 고액자산가를 제외할 수 있는 기준도 따로 마련해 9월 중 발표할 예정입니다.

그래도 헷갈리는 분들은 오는 14일부터 네이버 앱, 카카오톡 등을 통해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를 신청하면 신청 시작 이틀 전인 19일에 내가 얼마 받을 수 있는지 지급액 등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Q2. 빨리 받아보고 싶은데요, 어떻게 신청하나요?

소비쿠폰 신청은 오는 21일 오전 9시부터 시작됩니다. 

신청과 동시에 사용을 원하는 분들은 신분증을 지참해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종이로 된 지역사랑상품권 혹은 선불카드를 수령하면 됩니다.

이외에는 모두 신청 다음날 지급되는데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경우 이용 중인 카드사 앱, 콜센터 혹은 은행영업점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자체 지역사랑상품권 앱 또는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Q3. 받으면 어디에서 쓸 수 있나요?

가장 궁금하실텐데요.

시민들에게 먼저 물어봤습니다.

[윤연숙 / 서울 서대문구]
"아무래도 생필품, 식료품 이런 거요. 채소, 고기 같은 거."

[우주은 / 서울 마포구]
"병원비가 부담스러울 때가 있으니까 소비 쿠폰이 있으면 사용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최오규 / 서울 중구]
"동네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 식당 많이 가고."

이처럼 시장, 음식점, 병원, 학원 등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본인 주소지 내의 시·군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서울에 산다면 서울시 내, 경기도 군포시에 산다면 군포시에서만 쓸 수 있는 거죠. 

Q3-1. 웬만한 곳에서 다 쓸 수 있는 거네요?

그건 또 아닙니다.

앵커께 질문 하나 드릴게요.

스타벅스 커피, 금반지, 전기요금 등 공과금.

이 중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건 뭘까요?

정답은 세 가지 사례 모두 사용이 안 됩니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나 편의점의 경우 직영점이 아닌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처럼 전 매장이 직영점인 경우 못 쓰는 거죠. 

금반지를 파는 귀금속 판매점에서의 소비, 아파트 관리비, 전기요금 같은 공과금은 지역 자영업자들의 매출을 늘린다는 취지에서 벗어나 제외됐습니다.

같은 이유로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Q4. 주의할 점도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정부에서 이번 소비쿠폰과 관련해 URL이나 링크가 포함된 문자는 일정 발송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이런 문자가 왔다면 피싱일 수 있어 절대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바로 지우셔야 합니다.

또, 1차 지원금 신청 마감은 9월 12일 오후 6시까지라는 점 기억하셔야 하고요. 

올해 11월 30일까지 쓰지 않은 지원금은 모두 소멸되니 그 전에 꼭 다 쓰셔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김승희 기자였습니다.


김승희 기자 sooni@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소비 쿠폰 본격적인 여름휴가 전에 지급하기 위해 신속히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00:09얼마를 어떻게 받고 어디에 쓰는지가 궁금한데 자세한 내용은 정책사회부 김승희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00:16자 김 기자 먼저 내가 얼마를 받는지가 가장 궁금할 것 같습니다.
00:21네 전 국민이 1인당 최소 15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00:25다만 차상위계층이나 한부모가족인 경우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인 경우 40만 원부터 시작하는데요.
00:33기준에서 비수도권은 3만 원, 인구 감소지역은 5만 원을 추가로 받습니다.
00:392차 지급은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들에게 일괄적으로 10만 원을 지급하는데요.
00:46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하되 고액 자산가를 제외할 수 있는 기준도 따로 마련해서 9월 중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00:53그래도 헷갈리는 분들은 오는 14일부터 네이버 앱, 카카오톡 등을 통해 국민 비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01:01신청 시작 이틀 전인 19일에 내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지급액 등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01:08빨리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이 많을 텐데 어떻게 신청을 하는 겁니까?
01:12신청은 오는 22일, 21일 오전 9시부터 시작이 됩니다.
01:17신청과 동시에 사용을 원하는 분들은 신분증을 지참해 주소지 관할에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01:26종이로 된 지역사랑상품권 혹은 선불카드를 수령하면 됩니다.
01:30이외에는 모두 신청 다음 날 지급이 되는데요.
01:34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경우 이용 중인 카드사 앱, 콜센터 혹은 은행을 방문을 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01:41모바일 또는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자체 지역사랑상품권 앱 또는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01:48이렇게 받으면 어디에서 쓸 수 있는 겁니까?
01:51네, 이게 가장 궁금하시죠? 시민들에게 미리 한번 물어봤습니다.
01:57아무래도 생필품, 식료품 이런 거요. 채소, 고기 같은 거.
02:05병원비가 부담스러울 때가 있으니까 그때 소비 쿠폰이 있으면 사용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02:12동네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 식당을 위주로 많이 갈 것 같고요.
02:20이처럼 시장, 음식점, 병원, 학원 등 연매출 30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 사업장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02:28다만 본인 주소지 내에 시, 군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02:31서울에 산다면 서울시내, 경기도 군포시에 산다면 군포시에서만 쓸 수 있는 거죠.
02:37웬만한 곳에서 다 쓸 수 있는 거네요.
02:39그건 또 아닙니다. 앵커님께 제가 질문 하나 드려볼게요.
02:43스타벅스 커피, 금반지, 전기요금 같은 공과금 이 셋 중에 소비 쿠폰을 쓸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02:51막상 보니까 잘 모르겠는데 설명해 주시죠. 뭔가요?
02:54정답은 세 가지 사례 모두 사용이 안 됩니다.
02:58대기업 프랜차이즈나 편의점의 경우 직영점이 아닌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03:05스타벅스처럼 전 매장이 직영점인 경우 못 쓰는 겁니다.
03:10금반지를 파는 귀금속 판매점에서의 소비, 아파트 관리비, 전기요금 같은 공과금은요.
03:16지역 자영업자들의 매출을 늘린다는 취지에서 벗어나 제외됐습니다.
03:20같은 이유로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03:25주의할 점도 있을까요?
03:27네, 이게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03:29정부에서 이번 소비 쿠폰과 관련해 URL이나 링크가 포함된 문자는 일절 발송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03:37이런 문자가 왔다면 피싱일 수 있어서 절대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바로 지우셔야 합니다.
03:43또 1차 지원금 신청 마감은 9월 12일 오후 6시까지라는 점 기억하셔야 하고요.
03:49올해 11월 30일까지 쓰지 않은 지원금은 모두 소멸되니 그 전에 꼭 다 쓰셔야겠습니다.
03:57네, 잘 들었습니다.
03:58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3:59기상캐스터 배혜지
04:01아는 기자입니다.
04:02네, 감사합니다.
04:03아는 기자입니다.
04:04네, 감사합니다.
04:05감사합니다.
04:06아는 기자입니다.
04:07네, 감사합니다.
04:08네, 감사합니다.
04:09감사합니다.
04:10네, 감사합니다.
04:11아는 기자입니다.
04:12네, 감사합니다.
04:13네, 감사합니다.
04:14네, 감사합니다.
04:15네, 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