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풀어보겠습니다.

Q1. '사면초가' 국민의힘, 첫번째 위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특검 칼끝이 국민의힘을 향하고 있죠.

첫번째 위기, 바로 수사입니다.

윤상현 의원이 시작인데요.

김건희 특검이 어제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죠.

22대 총선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 의원, 김건희 여사 공천 요구를 받아준 건지 들여다보는 겁니다.

사실 국민의힘 의원들을 더 떨게 하는 건 내란 특검입니다.

계엄 해제 표결 당시 의원 상당수를 국회가 아닌 당사로 갔죠.

내란 특검,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할 전망인데요.

당내에선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 안 한 사람 다 조사할 거라는 흉흉한 소문까지 돌고 있습니다.

계엄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이 18명이니 나머지가 수사 대상 될 수 있다는 거죠.

Q2. 문제는 수사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거예요.

민주당은 "국민의힘 의원 체포동의안이 오는 족족 통과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체포동의안은 의석이 150석 넘는 민주당 단독으로도 통과시킬 수 있는데요.

과거 이재명 대통령 체포동의안 처리를 두고 민주당이 "정치보복"이라며 반발할 때 국민의힘은 비판했었죠.

민주당은 이제 이렇게 되받아칩니다.

"국민의힘이 (이 대통령 사법리스크 비판하면서) 불체포 특권 포기 각서도 썼다. 거기 윤상현 의원도 있다"고요.

Q3. 국민의힘의 또다른 위기, 돈줄이 막힐 수도 있는 거예요?

두번째 위기 바로 돈입니다.

민주당이 내란특별법을 발의했거든요.

내란범을 배출한 정당의 국고보조금, 차단하겠단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형이 확정되면, 법 통과시 비상계엄 사태 이후 받은 보조금 토해내야 하거든요.

100억 원이 넘습니다.

앞으로도 받을 수 없습니다.

사실상 당을 해산시킬 만한 위력인 거죠.

Q4. 외부적으로 이렇게 위기인데, 당은 한 목소리를 못내고 있어요.

세 번째 위기는 분열입니다.

외부 위기가 닥쳤는데 똘똘 뭉치기도 어려운 겁니다.

윤상현 의원 수사에 대해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한 건 가지고 정치보복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요.

국민 여론 어디로 흐를지 몰라서 "정치보복이다" "청산될 과거다" 이런 식으로 당이 한 목소리 내기도 어렵다는 겁니다.

의원 체포를 막을 힘도 없는데다 계엄, 탄핵 어떻게 볼 건지 여전히 갑론을박 하는 상황입니다.

Q5. 더 답답한 건 이 난국을 타개할 리더가 안 보인다는 거예요.

8월 전당대회 앞두고 리더는 실종됐습니다.

당 위기 돌파할 대표 주자가 안 보이니 공천이 곧 당선인 지역구의 숨은 친윤들 이른바 '언더 찐윤'이 진짜 실세라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대표주자 하면 직전 대선후보였던 김문수 전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가 떠오르죠.

그런데 옛 친윤계에서 이 두 사람에 대해서 더 거부감을 드러내는데요.

김문수 전 장관이 되면 더 계엄의 바다로 빠질 수 있다고, 한동훈 전 대표는 자신들을 지켜주지 않을 것 같다고 우려하는 겁니다.

Q6. 사면초가인 상황에서 돌파구 찾아야 하잖아요.

국민의힘이 우여곡절 끝에 오늘 혁신위원회 띄웠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 "재창당 수준 혁신안 마련해 전당원 투표 하겠다"고 밝혔죠.

"망할 작정 아니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서요.

당내에선 "잘 되겠냐" 회의론 많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8월 전당대회까지 약 두 달에 국민의힘 운명이 달렸습니다.

이 혁신위가 국민 여론을 설득할 혁신안 제대로 내고 혁신 전당대회 치러야 할 텐데요.

그렇지 않으면 내년 지방선거까지 위기가 될 것이란 우려 많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였습니다.



이남희 기자 ir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은 기자 정치부 이남희 선임 기자 나와 있습니다.
00:06제가 내우 외환이라고 했는데 어떻게 보면 사면 초과예요?
00:09국민의힘이? 지금 상황이 어떤 거예요?
00:11진짜 첫 번째부터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00:14첫 번째 위기는 바로 수사입니다.
00:17윤상현 의원이 시작인데요.
00:19어제 김건희 특검이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죠.
00:2422대 총선 당시 총선관리위원장이었던 윤 의원.
00:28김건희 여사 공천 요구를 받아준 건지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00:32그런데요. 사실 국민의힘 의원들을 더 떨게 하는 건 내란 특검입니다.
00:38계엄 해제 표결 당시에 의원 상당수를 국회가 아닌 당사로 그때 갔었죠.
00:45내란 특검,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지금 내란 특검이 수사할 전망입니다.
00:52그런데 당내에서는요.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 안 한 사람 다 조사할 거란 흉흉한 소문까지 돌고 있습니다.
01:01그러니까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이 18명이었거든요.
01:06나머지 89명이 수사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
01:10그만큼 불안하다는 거죠.
01:12수사에서 끝나지 않을 거라는 게 지금 민주당 얘기예요.
01:14그러니까요. 앞서 보신 것처럼 민주당 의원들, 국민의힘 의원 체포동의안이 넘어오는 족족 통과시키겠다 이렇게 벼르고 있습니다.
01:24체포동의안은요. 의석이 150석 넘는 민주당 단독으로도 통과시킬 수가 있습니다.
01:31과거 이재명 대통령 체포동의안 처리를 두고요.
01:35민주당이 정치 보복이라고 반발을 했을 때 국민의힘이 콕 집어 비판을 했었는데 민주당이 이제 이렇게 반대로 되받아치고 있습니다.
01:44국민의힘, 이 대통령 사법 리스크 비판하면서 불체포 특권 포기 각서도 썼다.
01:50거기에 윤상원 의원도 있다고요.
01:53지금 4명 초과인데 4개 중에 1개 알아본 거예요. 그렇죠?
01:57두 번째 뭡니까?
01:58바로 돈입니다.
02:00민주당이 어제 내란 특별법을 발의한다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02:04내란 범을 배출한 정당의 국고보조금 차단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02:10윤석열 전 대통령의 형이 확정이 되면 법이 통과할 경우 계엄사태 이후 받은 보조금 다 토해내야 됩니다.
02:19그 돈 100억 원이 넘습니다.
02:21앞으로도 못 받습니다.
02:23그러니까 사실상 당을 해산시킬 만한 위력인 겁니다.
02:27국고보조금 걱정하는 게 민주당이 작년까지 걱정했는데 이제 이것도 뒤바뀐 거군요.
02:32외부적으로 위기인데 당이 지금 한 목소리를 못 내고 있는 거예요.
02:36그러니까요.
02:37세 번째 위기는 분열입니다.
02:40외부 위기가 닥쳤는데 똘똘 뭉치기도 어려운 겁니다.
02:45윤상현 의원 수사에 대해서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오늘 이렇게 말했거든요.
02:50이 한 건 가지고 정치 보복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요.
02:55그러니까 국민 여론이 어디로 흐를지 몰라서 이 건이 정치 보복이다 혹은 청산될 과거다 이런 식으로 한 목소리 내기가 어렵다는 겁니다.
03:05게다가 의원 체포를 막을 힘도 없고요.
03:08계엄 탄핵 어떻게 볼 건지 여전히 당내에서 갑론을박하는 상황인 겁니다.
03:13이렇게 분연대 상황에서 일단 리더가 안 보여요.
03:16그렇죠?
03:16리더가 안 보인다.
03:178월 전당대회 앞두고 리더가 안 보인다.
03:20리더가 실종됐다.
03:21이런 위기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03:24당위기 돌파할 대표주자가 안 보이니까요.
03:27공천이 곧 당선인 지역구의 숨은 친윤들.
03:30이른바 언더찐윤이 국민의힘의 진짜 실세라는 얘기가 요즘 나오고 있잖아요.
03:36대표주자 하면 직전 대선 후보였죠.
03:39김은수 전 장관 그리고 한동훈 전 대표가 떠오릅니다.
03:43그런데 옛 칭윤계에서 이 두 사람에 대해서 더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는 겁니다.
03:49김은수 전 장관이 되면 더 계엄의 바다로 빠질 수 있는 게 아니냐.
03:53또 한동훈 전 대표가 되면 우리를 지켜주지 못하는 거 아니냐.
03:58이렇게 우려를 하고 있는 겁니다.
04:00정작 또 본인들의 리더는 내세우지 못하고 있고.
04:04이런 사면초가 상황에서 돌파구 어떡합니까?
04:07국민의힘 우여곡절 끝에 오늘 혁신위원회에 띄웠습니다.
04:10윤희숙 혁신위원장 이렇게 말을 했죠.
04:13재창당 수준의 혁신화를 마련해서 전당원 투표를 부추겠다.
04:18망할 작정 아니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비장한 각오를 밝혔는데요.
04:23그런데 당내에서는 잘 되겠냐.
04:26회의론 많더라고요.
04:28하지만 지금부터 8월 전당대회까지 약 두 달에 국민의힘 운명이 달렸습니다.
04:33이 혁신위가 국민 여론을 설득한 혁신안 제대로 내고 또 혁신전당대회까지 제대로 치러야 합니다.
04:41그렇지 않으면 내년 지방선거까지 망한다.
04:45위기가 될 것이다.
04:46이런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04:48정말 해낼 수 있을까요?
04:49아는 기자, 이남이 선임 기자 살펴봤습니다.
05:03이 혁신위가 국민 여론을 설득한 혁신과 함께 일어난 혁신을 구성으로 감사드립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