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트럼프 관세·삼성 어닝쇼크’ 악재 이겨낸 코스피
채널A News
팔로우
2025. 7. 9.
美 관세·삼성전자 실적, 이미 예고된 리스크
시장 충격 미미… 관세에 민감한 수출주도 선방
美 '한국 25% 상호관세'… 향후 협상 가능성 주시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이번에는 오락가락하는 미국의 관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국권이 3,100선을 지키고 있는 우리 국내 증시 얘기 잠시 짚어보겠습니다.
00:10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라고 자평했습니다.
00:30
일본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경우도 1% 관세가 오히려 올랐습니다.
00:36
관세가 인상이 되는 최악의 상황을 면한 것으로 보고.
00:41
솔직히 말하자면 어제 국내 증시는요.
00:45
긍정적인 이슈보다 부정적인 이슈가 줄을 잃은 그런 시장이었습니다.
00:50
미국의 관세 통보도 있었죠.
00:52
삼성전자에는 어닝 쇼크가 있었습니다.
00:54
예상치보다 굉장히 영업이익이 떨어지게 나왔죠.
01:00
이어진 악재에도 불구하고 그런데 증시가 버텨줬습니다.
01:04
이거 왜 그런 거예요?
01:06
어제 안 그래도 안 좋은 뉴스밖에 없었는데 증시는 딱 지키고 있더라고요.
01:11
일단 악재 부분을 먼저 설명드리면요.
01:14
관세 소환 발송됐잖아요.
01:16
4개 국가에.
01:17
그런데 증시에는 이런 게 있습니다.
01:18
알려진 악재는 악재가 아니다.
01:20
이미 다 반영된 거다.
01:21
그렇죠.
01:21
선반영된 측면도 있고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경로를 통해서 발송한다.
01:26
몇 개 국가에 어떤 식으로 이런 것들을 누차 말해왔지 않습니까?
01:30
그러니까 증시 투자자들이 이를 이미 선 반영한 측면이 있다.
01:34
그래서 정작 뉴스가 나오니까 크게 반응하지 않은 것도 있고요.
01:38
삼성전자도 어닝 쇼크 수준의 실적이었지만 어느 정도는 예상을 했었고
01:43
이게 또 바닥일 수 있다는 기대 심리도 반영이 된 거죠.
01:46
반면에 이제 호재성 이슈를 더 크게 반영을 하게 된 거죠.
01:51
지금 상법 개정이 국회를 통과했지 않습니까?
01:54
상법 개정을 통해서 자본시장 개편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정도 충족이 됐습니다.
01:58
그런데 그걸로 끝난 게 아니죠.
01:59
지금 배당 소득을 분리과세하는 문제라든지 아니면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거라든지
02:05
2탄, 3탄의 자본시장 개편에 대한 정책 추진들이 지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02:10
거기에 크게 반응을 한 것 같고요.
02:12
그래서 어제는 은행주, 지주사들이 크게 올랐고요.
02:16
오늘 같은 경우도 증권주들이 크게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02:19
그렇군요.
02:21
앞서 잠깐 얘기를 나눴지만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진에 이어서 어닝 쇼크까지 기록했습니다.
02:28
하지만 주가는 살짝 내리는 정도로 마무리해서 6만 전자를 지켜냈는데요.
02:34
반도체 투톱으로 꼽히는 SK하이닉스보다 열세를 보이고 있는 게 지금 삼성전자의 입장입니다만
02:41
남은 하반기에는 어떻게 될지 계속 지켜봐야 될 상황인 것 같습니다.
02:48
일부에서는 오를 상황이다, 지금은 이제 바닥 찍은 거다 이런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02:54
어제 삼성전자와 관련된 이슈가 어닝 쇼크 외에도 한 가지 더 있었습니다.
02:59
지난 2020년에 작고한 고 이건희 회장이 소유했던 단독주택이 228억 원에 매각됐다라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03:12
그런데 일각에서는 어쩔 수 없이 판 거다라고 얘기를 하더군요.
03:17
어떤 사연입니까?
03:18
이게 이건희 회장이 돌아가시면서 상속 재산들이 있는데 상속세가 역대 최대 규모.
03:24
세계적으로도 가장 많은 수준의 12조 원이 부과가 됐지 않습니까?
03:28
지금 5년에 걸쳐서 연납을 하고 있는데 상속세 부담이 워낙 크다 보니까
03:34
아무리 삼성 일가라도 상속세 부담, 상속세를 내기 위해서 이렇게 갖고 있는 각종 재산들을 하나씩 처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03:44
그래서 이번에 이태원 주택도 처분을 하게 된 것이다라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더라고요.
03:49
12조 원 상속세 중에 내년 4월까지 연납을 해야 되는데
03:53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10조 원 정도는 납부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03:58
하지만 여전히 2조 원 이상의 상속세를 납부를 해야 되기 때문에
04:03
지금도 지금 증권사와 관련돼서 주식을 담보로 한 대출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죠.
04:08
상속세 부담, 삼성 일가라도 피할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04:12
그렇군요.
추천
3:24
|
다음 순서
김진의 돌직구쇼 - 10월 31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4. 10. 31.
3:04
주가 반토막 났는데…백종원 연봉·배당금 ‘25억’
채널A 뉴스TOP10
2025. 3. 22.
3:22
김진의 돌직구쇼 - 3월 17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5. 3. 17.
1:26
한국산이라더니 '청천벽력'...'메이드 인 차이나'의 대변신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4. 11. 7.
4:56
이재명-이재용 만남 예고에…윤희숙 “협박 받았나”
채널A News
2025. 3. 5.
3:02
김진의 돌직구쇼 - 12월 2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4. 12. 2.
0:19
[기업] 해외 '꿀떡 시리얼' 인기에...삼립, 꿀떡 수출 추진 / YTN
YTN news
2024. 12. 26.
2:04
[핫3]전 세계 로제 ‘APT’ 열풍…올해 수능금지곡 당첨
채널A News
2024. 10. 29.
1:51
[자막뉴스] '사면초가' 빠진 한국 경제에 휘청이는 대기업들 / YTN
YTN news
2024. 12. 10.
1:25
■ 5월 16일(금) 경제 캘린더 / YTN
YTN news
2025. 5. 15.
1:49
삼성전자 또 신저가…‘4만전자’ 위기
채널A News
2024. 11. 13.
3:29
김진의 돌직구쇼 - 4월 15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5. 4. 15.
4:30
美, 철강 관세 50% 발효…한국 업계 부담 가중
채널A News
2025. 6. 5.
2:01
환율·내수 '빨간불'...잇단 악재에 수출기업 긴장 / YTN
YTN news
2024. 12. 10.
1:38
[자막뉴스] 외국인 관광객 북적이는 가게... '수출 효자' 꿈꾼다 / YTN
YTN news
2025. 1. 6.
1:03
10월 24일 경제 캘린더 / YTN
YTN news
2024. 10. 23.
2:00
차 부품 관세면제 시사에 코스피 상승...코스닥 하락 / YTN
YTN news
2025. 4. 15.
2:58
김진의 돌직구쇼 - 5월 22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5. 5. 22.
2:22
'젠슨 황'에 들썩인 우리 증시...일단 출발은 '호조' / YTN
YTN news
2025. 1. 11.
2:13
2분기 실적 줄줄이 '반토막'...하반기가 더 암울 / YTN
YTN news
2025. 7. 11.
2:27
산불피해 안동에 재외 동포 경제인 집결..."경제 회복 마중물 기대" / YTN
YTN news
2025. 4. 29.
0:25
외국인 순매도에 코스피 3,070대로...조선·방산·원전 하락 / YTN
YTN news
2025. 7. 2.
0:25
[경기] 국내 최대 규모 수출 전문 전시회 'G-FAIR KOREA 2024' 개막 / YTN
YTN news
2024. 10. 31.
2:16
"미 관세 피하려" 한국산 둔갑...우회 수출 '꼼수' 잡는다 / YTN
YTN news
2025. 4. 21.
1:55
'관세 서한' 충격에도 코스피 3,100대...삼성전자도 선방 / YTN
YTN news
2025.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