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9.


美 관세·삼성전자 실적, 이미 예고된 리스크
시장 충격 미미… 관세에 민감한 수출주도 선방
美 '한국 25% 상호관세'… 향후 협상 가능성 주시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번에는 오락가락하는 미국의 관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국권이 3,100선을 지키고 있는 우리 국내 증시 얘기 잠시 짚어보겠습니다.
00:10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라고 자평했습니다.
00:30일본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경우도 1% 관세가 오히려 올랐습니다.
00:36관세가 인상이 되는 최악의 상황을 면한 것으로 보고.
00:41솔직히 말하자면 어제 국내 증시는요.
00:45긍정적인 이슈보다 부정적인 이슈가 줄을 잃은 그런 시장이었습니다.
00:50미국의 관세 통보도 있었죠.
00:52삼성전자에는 어닝 쇼크가 있었습니다.
00:54예상치보다 굉장히 영업이익이 떨어지게 나왔죠.
01:00이어진 악재에도 불구하고 그런데 증시가 버텨줬습니다.
01:04이거 왜 그런 거예요?
01:06어제 안 그래도 안 좋은 뉴스밖에 없었는데 증시는 딱 지키고 있더라고요.
01:11일단 악재 부분을 먼저 설명드리면요.
01:14관세 소환 발송됐잖아요.
01:164개 국가에.
01:17그런데 증시에는 이런 게 있습니다.
01:18알려진 악재는 악재가 아니다.
01:20이미 다 반영된 거다.
01:21그렇죠.
01:21선반영된 측면도 있고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경로를 통해서 발송한다.
01:26몇 개 국가에 어떤 식으로 이런 것들을 누차 말해왔지 않습니까?
01:30그러니까 증시 투자자들이 이를 이미 선 반영한 측면이 있다.
01:34그래서 정작 뉴스가 나오니까 크게 반응하지 않은 것도 있고요.
01:38삼성전자도 어닝 쇼크 수준의 실적이었지만 어느 정도는 예상을 했었고
01:43이게 또 바닥일 수 있다는 기대 심리도 반영이 된 거죠.
01:46반면에 이제 호재성 이슈를 더 크게 반영을 하게 된 거죠.
01:51지금 상법 개정이 국회를 통과했지 않습니까?
01:54상법 개정을 통해서 자본시장 개편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정도 충족이 됐습니다.
01:58그런데 그걸로 끝난 게 아니죠.
01:59지금 배당 소득을 분리과세하는 문제라든지 아니면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거라든지
02:052탄, 3탄의 자본시장 개편에 대한 정책 추진들이 지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02:10거기에 크게 반응을 한 것 같고요.
02:12그래서 어제는 은행주, 지주사들이 크게 올랐고요.
02:16오늘 같은 경우도 증권주들이 크게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02:19그렇군요.
02:21앞서 잠깐 얘기를 나눴지만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진에 이어서 어닝 쇼크까지 기록했습니다.
02:28하지만 주가는 살짝 내리는 정도로 마무리해서 6만 전자를 지켜냈는데요.
02:34반도체 투톱으로 꼽히는 SK하이닉스보다 열세를 보이고 있는 게 지금 삼성전자의 입장입니다만
02:41남은 하반기에는 어떻게 될지 계속 지켜봐야 될 상황인 것 같습니다.
02:48일부에서는 오를 상황이다, 지금은 이제 바닥 찍은 거다 이런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02:54어제 삼성전자와 관련된 이슈가 어닝 쇼크 외에도 한 가지 더 있었습니다.
02:59지난 2020년에 작고한 고 이건희 회장이 소유했던 단독주택이 228억 원에 매각됐다라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03:12그런데 일각에서는 어쩔 수 없이 판 거다라고 얘기를 하더군요.
03:17어떤 사연입니까?
03:18이게 이건희 회장이 돌아가시면서 상속 재산들이 있는데 상속세가 역대 최대 규모.
03:24세계적으로도 가장 많은 수준의 12조 원이 부과가 됐지 않습니까?
03:28지금 5년에 걸쳐서 연납을 하고 있는데 상속세 부담이 워낙 크다 보니까
03:34아무리 삼성 일가라도 상속세 부담, 상속세를 내기 위해서 이렇게 갖고 있는 각종 재산들을 하나씩 처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03:44그래서 이번에 이태원 주택도 처분을 하게 된 것이다라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더라고요.
03:4912조 원 상속세 중에 내년 4월까지 연납을 해야 되는데
03:53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10조 원 정도는 납부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03:58하지만 여전히 2조 원 이상의 상속세를 납부를 해야 되기 때문에
04:03지금도 지금 증권사와 관련돼서 주식을 담보로 한 대출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죠.
04:08상속세 부담, 삼성 일가라도 피할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04:12그렇군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