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북러 조약 1주년 기념 행사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러시아 문화장관이 함께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파병 군인 모습이 처음 공개됐는데 파병을 정당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 평양의 동평양대극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입장하고 그 뒤를 딸 주애가 따릅니다.

앞서 입장한 올가 류비모마 러시아 문화장관이 이들을 반깁니다.

혈맹 수준까지 끌어 올린 북러 조약 체결 1주년을 맞아 기념 공연이 열린 겁니다.

공연 말미, 지난해 10월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의 모습이 대형 화면에 등장합니다.

[현장음]
"내 조국의 빛나는 별들이여"

사격을 하거나 적진을 돌파하는 모습 등 쿠르스크 훈련 장면이 사진과 영상으로 나타났습니다.

'혈맹'을 강조하듯 북한과 러시아 양측 군인들이 인공기와 러시아 국기를 함께 흔드는 모습도 보입니다.

[조선중앙TV]
"피로써 맺어진 전투적 우의와 참다운 국제주의적 의리는 승리의 역사와 더불어 영원하리라는 확신을 (보여줬습니다.)"

북한이 러시아 파병군 모습을 인민들에게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파병 사실을 공식적으로 알린 지 2달 만입니다.

특히 이날 김 위원장과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전사자 시신을 수습하는 모습이나 김 위원장이 특수작전 부대원들에게 보낸 '공격작전' 명령서 등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장면들도 공개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파병의 정당성을 선전하고 추가 파병 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임을출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대규모 파병이 군사적·경제적으로 도움이 된 점을 확인했고, 추가 파병에 대한 정당성이나 근거가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우리 국가정보원은 이르면 다음 달 북한이 공병과 건설병 위주로 6000명을 추가 파병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

영상편집: 구혜정


김정근 기자 rightroot@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북러조약 1주년 기념행사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러시아 문화장관이 함께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00:08이 자리에서 파병 군인의 모습이 처음으로 공개됐는데 파병을 정당화하려는 걸로 보입니다.
00:15김정은 기자입니다.
00:19북한 평양의 동평양 대국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입장하고 그 뒤를 딸 주혜가 따릅니다.
00:26앞서 입장한 올가 류비모마 러시아 문화장관이 이들을 반깁니다.
00:32혈맹 수준까지 끌어올린 북러조약 체결 1주년을 맞아 기념 공연이 열린 겁니다.
00:38공연 말미 지난해 10월 러시아 크루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의 모습이 대형 화면에 등장합니다.
00:45사격을 하거나 적진을 돌파하는 모습 등 크루스크 훈련 장면이 사진과 영상으로 나타났습니다.
01:00혈맹을 강조하듯 북한과 러시아 양측 군인들이 인공기와 러시아 국기를 함께 흔드는 모습도 보입니다.
01:07필로소 맺어진 정투적 우위와 참다운 국제주의적 의리는 승리의 역사와 더불어 영원하리라는 확신을...
01:17북한이 러시아 파병군 모습을 인민들에게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01:23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파병 사실을 공식적으로 알린 지 두 달 만입니다.
01:27특히 이날 김 위원장과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전사자 시신을 수습하는 모습이나
01:34김 위원장이 특수작전부대원들에게 보낸 공격작전 명령서 등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장면들도 공개됐습니다.
01:43전문가들은 북한이 파병의 정당성을 선전하고 추가 파병 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01:50대규모 파병이 군사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 점을 확인했고 추가 파병에 대한 정당성이나 근거가 될 수 있다.
02:00우리 국가정보원은 이르면 다음 달 북한이 공병과 건설병 위주로 6천 명을 추가 파병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
02:08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
02:20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