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6.


'케이팝 데몬 헌터스', 41개국 넷플릭스 1위 돌풍
중국 누리꾼, '케이팝 데몬 헌터스' 문화 표절 주장
서경덕 교수 "중국의 영상 불법 시청도 문제"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자, 저희는 앉아서 세계 속으로 가 있습니다.
00:06첫 번째 여행지는요, 중국으로, 중국으로 가보겠습니다.
00:14K-POP 아이돌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00:183인조 걸그룹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독특한 애니메이션인데
00:26주요 성공 원인으로 지목된 건 한국적 색채를 담았다는 겁니다.
00:31남산타워 아래에서 공연도 하고요, 한강이 보이는 펜타우스, 지하철이 지나는 청담대교 등등 서울의 곳곳을 담고 있습니다.
00:37뿐만 아니라 호랑이와 갓을 쓴 저승사자 같은 한국의 어떤 전통 문화도 곳곳에 녹아 있어서 독창적이죠, 이렇게.
00:45지난 20일 OTT 공개 이후 41개국 나라에서 1위를 차지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00:52그런데 이 K-POP이 전 세계에서 1위를 하자 중국이 억지를 부리고 있습니다.
01:04아, 중국의 문화를 표절했다? 왜 한국적인 요소에 중국의 요소를 넣으냐?
01:11영화에 중국 매듭이 등장한다? 라며, 아, 이 K-POP 관련된 거에 중국을 표절했다?
01:17따자하오! 야, 이건 뭐 말이죠. 이런 억지를 부리고 있습니다.
01:23김만삼 변호사님, 어떻게 보십니까?
01:25그런데 이게 중국의 한두 번이 아니잖아요.
01:27그리고 이제까지 영화랄지 아니면 세계적으로 어떤 김치랄지, 한복.
01:33이런 것들도 자기들 것이라고 굉장히 우겨대고 있는 거예요.
01:36그래서 지금 저 K-POP 데몬 헌터스가 거의 한국의 어떤 그룹, 그리고 남대문이랄지,
01:47그다음에 한국의 어떤 이전부터 내려왔던 무당이랄지, 굿이랄지, 이런 것들을 혼합을 해서 만들어놓은 거기 때문에 넷플릭스의 일이죠.
01:56그런데 중국에서는 넷플릭스가 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거든요.
01:59그러면 중국 사람들이 저걸 어떻게 봤을까?
02:02그러면 결과적으로 돈 내지 않고 불법시청한 거예요.
02:05카피한 걸 봤던지, 중국은 또 카피 천국이니까, 짝둥 천국이니까.
02:11그래서 아마 그런 걸 보고 나서 괜히 이제 어떤 시기주투하는 거죠.
02:16한국의 어떤 독자적인 문화에, 경우에 대해서는 중국 것이 약간 가미될 수는 있겠죠.
02:20요즘은 워낙 글로벌 사회이기 때문에.
02:23그런까지 트집을 잡는 거예요.
02:24그러니까 잘나가는 꼴을 못 보겠다, 그런 일부다고 저는 봐요.
02:28그러니까 중국의 누리꾼들이랄지 중국 국민들이 다 그런 게 아니고 약간 중국에 있는 누리꾼 중에서 일단 생각이 있어서 굉장히 콘크리트 벽처럼 이렇게 자기들 위의 어떤 확증 표현을 가지고 있는 이 누리꾼들이 하는 것이고
02:46저는 제가 볼 때는 그 누리꾼들의 댓글 자체가 부러워서 하는 것이지 않을까요?
02:50이쪽에 질투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02:52그런데 지금 사실 애니메이션 자체가 넷플릭스에 이루하기가 굉장히 힘들거든요.
02:56그런데 그것도 이제 가장 한국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제작한 이런 애니메이션이 넷플릭스에 계속적으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03:05저도 사실 이제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03:07아까 우리가 언뜻 봐도 굉장히 역동적이면서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그런 K-POP
03:13그리고 또 뮤지컬을 가지고 이렇게 애니메이션을 한 거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재미가 없다고 볼 수 있는데 저게 어떤 특이한 요소.
03:22그래서 저 감독이 저걸 제작한 분이 그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03:28세계의 어느 곳인지 앞에다 K자를 넣으면 인기가 굉장히 좋다는 거예요.
03:34그래서 일단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한국의 어떤 K-POP, K 애니메이션이 또다시 각광을 받는 굉장히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고 있다 이렇게 봅니다.
03:46네. 이거 중국 거 아니냐. 중국 네티즌들이 시비를 걸고 있다고 하는데
03:50이 애니메이션의 감독이 논란의 종지부를 꽝 찍었습니다.
03:54뭐라고 했을까요?
03:57맥이 강.
03:595살 때 캐나다로 이주했다. 한국의 팝 컬처를 많이 경험했다.
04:02영화 속 디테일도 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04:04한국 따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04:06모든 K-POP 그룹과 멤버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04:08감독이 뭐 이건 한국 문화라고 영향을 얘기를 했으니까
04:11논란은 뭐 종기로 된 거죠?
04:14그렇습니다. H.O.T 세대라고 그러더라고요. 감독이요.
04:18아 그렇군요. 우리 세대인데 그럼 성부의장이 하고 저희 세대인데요.
04:22그렇죠? 핑크를 H.O.T 요 세대 아니겠습니까?
04:26동방신기까지.
04:27네. 전 동방신기는 조금.
04:28그래.
04:48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