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19.


'평민이 정치를 시작한 날'
아테네, 민주주의의 탄생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민주주의라는 것이 사실 지금 굉장히 많은 국가들이 채택을 하고 있잖아요.
00:04민주주의가 뭘까요?
00:06민주주의.
00:07다수결.
00:08다수결.
00:09사실은 굉장히 근본적인 게 있죠.
00:11민주주의잖아요.
00:13국민이 전력을 주인이 되어서 행사하는 것.
00:17그게 사실은 민주주의고 영어로 민주주의를 뭐라고 하죠?
00:21democracy.
00:22맞아요. 발음 너무 좋았어요.
00:25땡큐.
00:25democracy라고 하는데 이 말의 어원이 어디서 나왔냐면 그리스어에서 나왔거든요.
00:32인민, 대중을 뜻하는 말이 데모스고
00:35거기서 크라토스라는 말이 있어요.
00:38이게 힘, 지배를 뜻하는 거예요.
00:39그래서 그걸 합쳐서 democracy라고 말을 만들어낸 건데
00:43결국에는 국민이 힘을 가지고 지배를 하는 체제.
00:47이게 사실은 민주주의인 거죠.
00:48그래서 국민이 스스로를 지배한다고 얘기를 하는 건데
00:51그러면 이 민주주의를 최초로 시도를 한 나라.
00:55아테네.
00:56네, 아테네 도시국가입니다.
00:57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에서 민주주의를 시도를 했죠.
01:01이미.
01:02그러면 왜 어떻게 아테네에서 그 옛날에 민주주의를 시도를 하게 됐느냐.
01:07이 이야기를 좀 해볼게요.
01:09아테네가 기원전 8세기 그리고 7세기부터
01:12지중해 쪽에서 무역을 하면서 엄청난 불을 쌓게 돼요.
01:16상인이라든지 선원이라든지 일반인들도 부자가 되는 거예요.
01:22사람이 경제력이 갖추게 되면 뭐 하나가 더 갖고 싶어요.
01:26권력을 갖고 싶고.
01:27맞지.
01:28권력을 갖고 싶고.
01:30내가 이렇게 세금도 많이 내는데 나도 정치 과정에 참여해야 되는 거 아니야?
01:35이런 생각을 당연히 하게 되는 거고.
01:37그리고 또 하나의 부류가 있습니다.
01:39전쟁을 하면서 군인들이 나가서 싸우잖아요.
01:43내가 이 나라를 위해서 목숨 걸고 싸웠는데
01:46너네가 나한테 뭔가 정책 결정권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줘야 되지 않아?
01:51라는 생각을 하게 되죠.
01:54그럴 것 같아요.
01:55그렇게 갈등하고 싸우고 이런 과정이 반복이 되면서
01:59기원전 5세기경에는 꽤 많은 사람들이 정치에 참여를 합니다.
02:04일반 평민들도.
02:05얼마나 많이 참여를 했냐면요.
02:07당시 아테네 인구가 한 25만에 30만 정도 됐다고 해요.
02:11그리고 정치에 참여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한 5만에서 6만 명 정도 되었다고 합니다.
02:19그래서 그 사람들이 이제 피닉스 언덕에 모여서 토론을 하고.
02:23와 5만 명이요?
02:24결정을 다 못 오지.
02:26아 대신 못 하겠는데.
02:27국가 중요사가 있다.
02:29모여서 토론을 하고 결정을 하고 투표를 하고.
02:33그렇게 해서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아테네의 직접 민주주의가 시작이 됩니다.
02:39그리스가 처음이었구나.
02:40얘기를 듣고 보면 정치에 참여를 할 수 있는 사람이야.
02:44그러면 일단은 굉장히 자랑스럽겠죠.
02:48네.
02:48그렇죠.
02:48나를 가면 한 표 던질 수 있는 사람이야.
02:51이거는 왜 아테네의 access이야.